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中 베이징 등 전국 소비 '날갯짓'

기사입력 : 2023년01월09일 16:36

최종수정 : 2023년01월09일 16:36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중국이 사실상의 '위드 코로나'로 전환한 지 한 달이 지난 현재, 중국 곳곳에서 소비가 살아나고 있다고 중국 관영 인민일보(人民日報)가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수도 베이징(北京)의 주요 상권이 소비자들로 북적이고 있다. 다양한 먹거리로 유명한 구이제(簋街)의 경우 전체 1472m 길이의 거리에 식당 90여 곳이 영업을 재개했고, 일부 식당들은 24시간 영업 중이다.

근교 여행과 영화 관람 등 여가활동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중국 최대 배달 플랫폼 메이퇀(美團) 자료에 따르면 베이징 유니버셜리조트(北京環球影城)의 입장권 예매량이 전주 대비 68%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동기 대비로는 30% 가량 늘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최지였던 옌칭(延慶)구에는 3일 간의 위안단(元旦·양력 1월 1일) 연휴 기간 12만 9000명의 관광객이 몰렸다. 스키장 등이 인산인해를 이루면서 1900만 위안(약 3억 8400만원)가량의 관광수입이 발생했다.

옌칭구 샹잉(香營)향 허우숴툰(後所屯)촌에서 펜션형 민박 펑스광쥐(風拾光居)를 운영하고 있는 뤼허리(呂合利)는 "3일 간의 위안단 연휴 기간 전 객실이 만실이었고, 춘제(春節·음력 설) 연휴 기간 예약도 완료됐다"고 설명했다.

베이징시 당국은 소비 진작에 힘쓰고 있다. 60여개 상권과 1000여 개 브랜드와 연말 특별 이벤트를 기획하는가 하면 둥청(東城)구와 다싱(大興)구, 옌칭구 등은 100만 위안 상당의 소비쿠폰을 발급했다.

베이징시 상무국 자료에 따르면 중점 모니터링 대상인 백화점과 대형 마트, 식당 및 전자상거래 기업체들의 올해 위안단 기간 매출액은 35억 3000만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83.8% 수준을 회복한 것이다.

[사진=바이두(百度)]

중국 제조업 허브 광저우(廣州)에서는 위안단 연휴 기간 식당의 온라인 주문액이 전주 대비 12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광저우시 역시 주요 상점들과의 공동 프로모션을 진행하면서 소비자들의 오프라인 소비를 이끌어내고 있다. 지난해 28일 개막한 '광저우 국제 쇼핑 페스티벌(廣州國際購物節)' 기간도 이달 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국제 쇼핑 페스티벌은 광저우시가 국제 소비 중심지가 되고자 지난 2012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는 대형 쇼핑 축제다.

광저우시는 이와 함께 패션소비 페스티벌, 국제 미식절(美食節), 온라인 설상품 판매절(年貨節) 등 다양한 대형 소비 촉진 행사를 진행 중이다.

중국 서부 내륙에 위치한 충칭(重慶)도 소비쿠폰을 발급하고 기업들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소비 활성화에 나섰다. 특히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와 '충칭·청두 쇼핑절'을 개최함으로써 각 지역에서 지급한 쇼핑 쿠폰을 교차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충칭시 자료에 따르면 위안단 연휴 기간 충칭시 주요 상권 및 중점 모니터링 대상 기업의 판매액은 72억 8500만 위안으로 집계됐다.

한편 대중교통 이용량 등 지표 역시 중국 소비가 살아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중국신문망(中國新聞網)이 8일 전했다.

양다오링(楊道玲) 중국 국가정보센터 빅데이터발전부 빅데이터 분석처 처장 겸 연구원은 "중국 18개 도시의 지하철 이용자 현황을 반영한 지하철 유동인구지수가 61.4를 기록했다"며 "이는 12월 저점 대비 36.5포인트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다오링은 "센터가 83개 도시의 232개 중점 상권의 인구유동량을 분석해 산출한 오프라인 상권 소비지수 역시 상승하고 있다"며 해당 지수가 12월 저점 대비 28.7포인트 높아진 96.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베이징과 상하이(上海), 광저우, 선전(深圳) 등 중점 도시를 포함한 83개 도시 전체의 지수가 모두 상승했다"며 "상점들이 번화했던 과거의 모습을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양대 노총에 110억원 편향 지원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심의하는 국회가 정부가 편성하지도 않은 양대 노총 지원 예산 110억원을 슬쩍 끼워 넣은 점은 정치권에서 관행처럼 이어온 '쪽지예산' 문제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국민 호주머니에서 나오는 돈이 정치권 이해관계에 따라 쓰이고 있는 것이다. 19일 국회 기후환경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 전체회의를 통과한 고용노동부 등 환노위 소관 예산안 예비심사보고서를 보면 고용노동부 취약노동자지원 사업 부문에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에 각각 55억원씩 지원하는 사업 예산이 신규 반영됐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한병도 소위원장이 17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제1차 예산안등조정소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2025.11.17 pangbin@newspim.com 한국노총 지원 예산을 세부적으로 보면 한국노총이 운영하는 중앙근로자복지센터 승강기·에스컬레이터 교체에 40억원, 난방 설비 교체 5억원, 지하주차장 안전 성능 10억원이 반영됐다. 민주노총 지원 예산을 보면 민주노총 임차보증금 예산 55억원이 편성됐다. 양대 노총 지원 예산은 당초 정부 예산안에는 없었으나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민주당) 국회의원들이 민원성 쪽지예산을 받아 관련 예산을 집어넣었다고 전해졌다. 야권에서는 민주당이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양대 노총 쪽지예산을 끼워 넣었다고 의심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 당선에 기여한 양대 노총에 대한 보은성 예산에 더해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함께 하자'는 정치적 메시지가 담겨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한국노총은 지난 6월 대통령 선거 때 당시 이재명 민주당 후보를 공개적으로 지지 선언했다. 민주노총은 대선 때 특정 후보 지지 선언을 하지 않았으나 노란봉투법(노동조합법 개정안)을 강행 처리한 민주당과 노동 정책 노선을 같이 하고 있다. 양대 노총은 노동계에서 영향력이 큰 노동조합이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조합원은 각각 116만명, 108만6000명이다. 양대 노총에 소속된 조합원은 전체 노조 조합원 약 82%를 차지한다. 양대 노총을 우군으로 두면 압도적인 노동계 지지를 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우재준 국민의힘 국회의원은 "제3노조, MZ 노조, 비정규직 노조를 지원하다고 했으면 그나마 명분이 있다"며 "민주노총이 정권 교체에 가장 크게 기여한 단체라는 건 국민 모두 알고 있고 지난 대선에서 한국노총조차도 이재명 후보를 지지했다"고 꼬집었다. 이어 "누가 봐도 정권 교체에 대한 대가성 지원 사업"이라며 "이 예산은 삭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SOC…지방선거 표심 노려 문제는 정치권 이해관계가 달린 쪽지예산이 난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정치권은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지역에서 올라오는 각종 민원을 들어줘야 해서다. 정부가 건설경기 부양을 위해 철도·도로 등 SOC 분야에 대한 재정 투입을 확대한다. [사진=뉴스핌DB] 당장 지방에 도로·다리를 깔고 보수하는 예산이 급증하고 있다. 국토교통위원회(국토위)는 하루 전인 지난 18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부 예산을 당초 정부안보다 약 2조 4000억원 증액했다. 증액된 예산은 대부분 지역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 확충과 지역균형발전 사업에 배정됐다. 국토위는 특히 정부가 반영하지 않은 도심공공주택복합사업 예산 100억원을 신규 배정했다. 도심공공주택 복합사업 추진이 늦어지는 곳을 대상으로 국민체육센터와 같은 생활 SOC를 건설하는 돈을 정부가 일부 지원한다는 것이다. SOC 예산은 예산결산특별위원회(예결위)를 거치며 눈덩이처럼 증가할 수 있다. 국토위는 말 그대로 예비심사일 뿐 실제로 예산을 깎고 늘리는 일은 예결위에서 하기 때문이다. 국회 안에서는 일부 예결위원은 벌써 쪽지예산을 수십장 받았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쪽지예산에 혈세는 줄줄이 새고 있다. 감사원이 지난해 말 공개한 '국고보조금 편성 및 관리 실태'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부당 지원된 국비만 20개 사업으로 2520억원에 달한다. ace@newspim.com 2025-11-19 14:25
사진
'피고인' 김건희 두달 만에 공개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법원이 19일 김건희 여사 재판의 중계를 서증조사 전까지 일부 허용했다. 이에 피고인석에 앉은 김 여사의 모습이 약 두 달 만에 공개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7부(재판장 우인성)는 이날 오전 10시 10분부터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김 여사의 속행 공판을 진행하고 있다. 법원이 19일 김건희 여사 재판의 중계를 서증조사 전까지 일부 허용했다. 이에 피고인석에 앉은 김 여사의 모습이 약 두 달 만에 공개될 전망이다. 사진은 김 여사가 지난 9월 24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첫 재판에 출석한 모습. [사진=뉴스핌 DB]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이날 공판 전체에 대한 재판중계허가신청서를 제출해 재판부는 개정 직후 이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재판부는 "공익적 목적을 위한 국민적 알권리는 헌법적으로 요청되는 것으로 최대한 보장돼야 하지만, 재판의 확정까지 피고인이 무죄 추정을 받을 권리도 함께 보호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재판 중계의 범위를 정해야 하는데, 이 사건에 관한 서증에 나온 제3자의 개인정보·주민번호·주소 등을 공개할 경우 회복하기 어려운 법익 침해의 가능성이 있다"며 "19일 공판 중 공판 개시 후 서증조사 전까지에 한해 중계를 허가함이 상당하다"고 판단했다. 재판부가 중계 일부 허용을 선고한 직후 오전 10시 17분께 김 여사가 법정에 들어섰다. 검정색 코트에 흰색 마스크를 착용한 김 여사는 구치소 직원들의 부축을 받으며 피고인석에 앉았다. 이후 오전 10시 19분부터 서증조사가 진행돼 김 여사가 피고인석에 앉은 모습은 약 2분 동안 짧게 공개될 전망이다. 한편 이날 오전 재판에서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에 관한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서증조사를 마쳤다. 나머지 서증조사는 오후 재판에서 이어질 계획이다. 오전 재판 종료 직후 일부 방청객이 "김 여사님 힘내세요. 사랑합니다"라고 외치자 김 여사는 꾸벅 인사하고 퇴정했다. hong90@newspim.com 2025-11-19 11:1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