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품질 만족도 개선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대우건설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과 품질 만족도 개선을 위해 친환경 콘크리트 사용을 확대한다.
대우건설은 국내 건설사 최초로 계절, 기후에 상관없이 전체 공정에 적용 가능한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 도입을 본격화한다고 29일 밝혔다.
![]() |
을지로 대우건설 본사 |
대우건설은 중대형 아파트 1개 단지(평균 40층, 8개동 규모) 시공을 가정해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때 소나무 270만여 그루가 흡수하는 것과 같은 규모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이 저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30년생 소나무 한 그루가 흡수하는 온실가스 양은 연간 약 6.6kg으로, 아파트 건축에 투입되는 시멘트 양을 줄일수록 CO₂ 배출량 역시 상쇄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외 건설 현장에서 쓰이는 콘크리트는 1㎥당 245kg의 시멘트가 사용돼 다량의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다. 특히 콘크리트 주재료로 널리 쓰이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OPC)'의 경우, 1톤 생산에 약 0.8톤의 CO₂가 발생해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현재 국내 건설 산업에서 소비하는 시멘트는 연간 5000만여 톤으로, 1년 동안 약 4000만 톤의 CO₂를 배출하는 셈이다.
대우건설은 한라시멘트와 공동개발한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로 기존 콘크리트 대비 최대 112kg/㎥까지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약 54%의 CO₂를 줄일 계획이다. 조기강도가 우수한 '조강 슬래그시멘트'를 활용해 동절기 콘크리트 강도 지연과 품질 하자 문제도 해소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올해 첫 도입한 '저탄소 친환경 콘크리트'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뿐만 아니라 현장의 품질 만족도를 높인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주거 환경을 확립하는 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leed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