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산업 전기·전자

속보

더보기

[갤럭시언팩] 노태문 "한국 폴더블폰 대중화 완성단계"

기사입력 : 2022년08월11일 07:00

최종수정 : 2022년08월11일 15:42

10만원 오른 Z플립4 "환율 반영 불가피한 상황"
"폴더블 제품은 미래 게임 체인저...판매량 극대화할 것"

[미국 뉴욕=뉴스핌] 김지나 기자 = "폴더블폰 대중화에는 어느 정도 국가별로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은 소비자들이 폴더블폰을 이미 안심하고 사용해 대중화가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고 생각합니다."

10일(현지시간)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온라인으로 진행된 '갤럭시 언팩 2022' 행사가 끝난 후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노태문 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4세대 폴더블폰 '갤럭시Z플립4'와 '갤럭시Z폴드4'를 통해 폴더블폰 대중화에 한 발 더 다가가겠다는 점을 강조했다.

노태문 삼성전자 MX(Mobile eXperience) 사업부장 사장이 8월 10일(현지시간) '갤럭시 언팩 2022(Unfold Your World)' 행사 직후 미국 뉴욕에서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노 사장은 "폴더블폰 대중화 시점이란 것은 판매 대수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폴더블폰 사용 환경을 갖추는 시점이 대중화의 시작점이 될 것"이라며 "작년 폴더3, 플립3부터 사용성을 갖춰나가 대중화가 시작됐다고 생각하고, 이번 4 시리즈를 통해 더 완벽하게 만들어 갈 것"이란 포부를 내비쳤다.

간담회에선 신제품 가격 상승에 대한 이야기가 이어졌다. 갤럭시Z플립4는 256GB 기준 가격으로 135만3000원, 전작 125만4000원에서 10만원 비싸졌다. 반면 갤럭시Z폴드4 가격은 256GB 기준으로 199만8700원으로 전작 가격 수준을 유지했다.

그는 갤럭시Z플립4 가격 상승 이유에 대해 "달러 기준으로 이번에 발표된 플립4는 999불, 폴드4는 129GB 기준으로 1799불로 작년 대비 동일한 달러 베이스 가격으로 책정했다"면서 "단, 환율에 대한 부분은 국가별로 달라서 어느 정도 반영할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갤럭시Z플립 제품 가격은 올린 반면 갤럭시Z폴드 제품 가격은 유지한 것에 대해선 "플립3은 한국에서 인기가 있었고, 폴드3는 플립3에 비해 판매량이 적었던 것이 사실"이라며 "이번 폴드4는 200만원 이하로 가격을 세팅하면서, 폴드4의 한국 시장 수요를 확대해 가격 상승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자 하는 전략으로 가격을 결정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갤럭시 플립 시리즈가 폴드 시리즈 보다 판매 비중이 높다는 점에 대해선 두 기종의 타깃 층이 확실하게 갈려, 개별적 전략으로 나아갈 것이란 방향성을 제시했다. 노 사장은 "플립은 자신을 드러내는 패션 아이템으로 인식하는 고객층인 반면, 폴드 고객층은 멀티태스킹 등을 강조한다"면서 "두 제품의 타깃 층이 완전히 다르다고 봐 비중을 의도적으로 조정하기 보단 소비자 층에서 원하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폴더블 제품은 우리가 가진 프리미엄 제품이고, 미래의 게임 체인저"라며 "모든 부분에서 가장 최고의 부품과 최고의 제조 공법을 적용하고 있고, 판매량을 극대화 하는 것이 수익성을 확보하고 가격 상승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abc123@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버핏, 하락장에 옥시덴털 등 주식 더 샀다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의 버크셔 해서웨이가 이번 주 뉴욕증시 하락 장세 속에서 그동안 꾸준히 매수해 온 옥시덴털 페트롤리엄의 지분을 추가 매수했다. 20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버크셔는 890만 주의 옥시덴털 지분을 4억500만 달러(약 5860억 원)에 매수했다. 이번 지분 인수는 지난 17일과 18일, 19일에 걸쳐 이뤄졌다. 이번 매수로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지분은 28%로 확대했다. 버핏 회장은 하락장에 주식을 저렴하게 산 것으로 보인다. 옥시덴털의 주가는 이번 달 들어 10% 하락해 연초 이후 24%의 낙폭을 기록 중이다. 전날 옥시덴털의 주가는 52주래 최저치를 기록하기도 했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워런 버핏 회장 [사진=블룸버그] 옥시덴털은 버크셔가 보유한 주식 중 6번째로 규모가 크지만, 버핏 회장은 완전한 인수설을 부인했다. 버크셔가 옥시덴털을 추가 매수한 것은 지난 6월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버크셔가 보유한 옥시덴털의 가치는 120억 달러에 이르지만 투자 전문매체 배런스는 옥시덴털 투자로 버크셔가 10억 달러의 손실을 보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같은 기간 버크셔는 북미 최대 위성 라디오 사이러스XM 지분 500만 주를 1억1300만 달러에 샀다. 사이러스XM은 올해 60%나 급락해 현재 10여 년간 가장 낮은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최근 투자자들은 회사가 2025년 실적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주식을 공격적으로 매도했다. 도메인 등록 서비스업체 베리사인의 지분 23만4000주를 약 4500만 달러에 사들였다. 현재 버크셔는 이 회사의 지분 13%를 보유 중이다. 이로써 지난 3거래일간 버크셔가 매수한 지분은 최소 5억6000만 달러에 달한다. mj72284@newspim.com 2024-12-21 00:55
사진
달러/원 환율 1,450원 돌파...15년래 최고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9일 달러/원 환율이 1450원도 돌파하며 1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내년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가능성을 시사한 여파다. 연준은 18일(현지 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 금리를 4.25~4.50%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9월과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 번의 회의에서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내렸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기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이 같은 예상대로면 연준은 내년 0.25%p씩 총 두 차례 금리를 낮추게 된다. 매파적인 연준의 내년 금리 전망에 이날 미 달러화는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달러/원 환율은 한국 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기준 1453원으로 1450원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제롬 파월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지명했다. [사진=블룸버그] koinwon@newspim.com 2024-12-19 06:58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