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
높아진 제약바이오업계 기대감
[편집자]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새정부의 정책방향에 큰 변화가 예상됩니다. 특히 부동산대책, 원전정책, 탄소중립, 물가안정 등 굵직한 현안들이 숙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에 <뉴스핌>은 윤석열 당선인의 공약을 재조명하고 새정부의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진단해 보고자 합니다.
[서울=뉴스핌] 김경민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을 향한 제약바이오업계의 기대감이 높아졌다. 새정부는 업계의 숙원인 통합 컨트롤 타워를 설립하고, 연구개발(R&D) 비용 확대와 규제 혁신을 추진할 전망이다.
10일 국민의힘 정책공약집에 따르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 제약바이오 분야를 새로운 산업으로 규정하고 글로벌 산업으로 육성·발전시키겠다고 공약했다.
먼저 윤 당선인은 국무총리 직속의 '제약바이오혁신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했다. 그간 업계는 효율성을 위해 산업 육성 정책과 예산을 통합 관리하는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달라고 요구해왔다. 현재 규제 정책과 산업 정책을 조정하는 기구가 없는 데다 국가 지원 사업의 연계성이 없는 탓이다. 업계는 제약바이오 강국을 향한 강력한 추진 동력이 만들어졌다며 환영하고 있다.
또 R&D·세제 지원과 전문 인력 양성 확대를 공언했다. 제약바이오 산업은 기술 장벽이 높아 막대한 지원이 필요한 분야다. 상업화와 직결된 임상 3상에만 최소 2000억원에서 1조원이 소요된다. 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정부부처의 올해 R&D 예산 15조7000억원 중 바이오 분야 예산은 11.4%인 1조8000억원에 불과하다. 미국 등 선진국은 30% 이상을 차지한다.
하지만 제약바이오 산업은 대표적인 규제 산업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윤 당선인은 급변하는 산업 질서에 맞는 규제 혁신을 약속했다.
특히 새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필요성이 대두된 '백신·치료제 강국'을 천명했다. 구체적으로는 백신·치료제 주권 확립, 글로벌 백신 허브 구축을 위한 전폭적인 국가 R&D 지원을 늘리겠다는 구상이다.
그러면서 임상 3상 단계에 있는 SK바이오사이언스의 코로나19 백신이 정부 지원과 무관하게 국제민간기구 감염병혁신연합(CEPI)의 자금에 힘입어 개발됐다며 정부의 R&D 지원이 적다고도 지적했다.
아울러 윤 당선인은 재생의료·정밀의료·뇌과학·노화·유전자 편집·합성생물학 등 첨단의료분야 바이오 디지털 분야에 국가 R&D도 확대할 방침이다.
km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