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신한 파트너십 강화로 사업성 재고
신한, 시금고 사업 수정 위해 적극 협조
중소사업자 외면에 업계 불만 가중될 듯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제로페이(서울사랑상품권)와 제로배달 등 서울시가 추진해온 주요 사업들이 신한금융그룹(신한)으로 집중되고 있다. 시는 대형 금융사 인프라를 활용해 해당 서비스의 사업성을 높여 효율성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계약이 완료되는 시금고 사업자인 신한은 사회공헌 성격이 큰 시 협력사업 강화로 재계약 가능성을 높인다는 포석이다. 양측의 이해관계가 결합된 변화지만 기존 사업의 핵심가치 중 하나인 중소사업자 참여 가능성을 차단했다는 비판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최아영 인턴기자 = 2022.03.03 youngar@newspim.com@newspim.com |
서울시는 신한의 배달앱(땡겨요) 시장 진출에 맞춰 '제로배달 유니온' 사업을 재편성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지난 1월 서울페이플러스(+) 출시에 이어 신한과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두번째 사례다.
◆사업성 재고 이유로 신한으로 넘어가는 '제로'사업
서울시가 신한과 협력해 두 사업의 변화를 꾀하는 이유는 사업성 재고다.
제로배달은 고 박원순 전 시장이 2020년 6월 선보인 중소플랫폼 사업으로 제로페이 서비스와 연동, 수수료를 2% 이하로 낮춰 소상공인 부담 완화를 추진했다.
하지만 배달의민족 등 대기업이 독점한 시장에서 중소사업자 연합이라는 한계를 드러내며 사실상 유명무실해진 상태다.
서울사랑상품권 사업은 관련법 개정에 따라 신한컨소시업이 새롭게 운영을 맡고 있다. 법개정은 사업자 역량 강화차원에서 금융사 참여를 필수로 하는 방향으로 이뤄졌다. 기존 사업자와 데이터 이관 논쟁이 있었지만 정부가 서울시 손을 들어주면서 일단락된 상태다.
시는 대형 금융사 인프라를 바탕으로 침체된 두 서비스를 활성화 시킨다는 복안이다.
상품권과 배달 사업의 경우 중소사업자만 참여해 시장 장악력이 크게 떨어졌다는 지적이 있었다. 세금이 투입되는 사업임에도 실효성은 높지 않았다는 평이다. 이에 신한의 영업망과 고객 인프라, 마케팅 역량 등을 활용해 예산 대비 높은 사업성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여기에 전임시장과 차별화되는 오세훈 시장만의 스타일로 해당 서비스를 변모시키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취임 직후부터 이른바 '박원순 지우기' 비판에 시달리고 있는 오시장 입장에서는 기존 사업을 무리하게 정리하기 보다는 새로운 파트너와의 협력강화로 독자적인 색깔을 입히는 선택을 했다는 분석이다.
◆시금고 수성 위해 시 협력 강화, 중소사업자 불만 확산
시금고 사업 수성에 나선 신한은 시와의 업무협력 강화로 재계약 가능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사진=신한은행] |
2018년 5월 입찰경쟁에서 104년간 시금고 사업을 독점했던 우리은행을 눌렀던 신한은 올해말 4년간의 약정기간이 만료된다. 본 사업은 48조원 규모이다.
시는 내달 5~11일 제안서를 접수하고 4월중 평가를 거쳐 5월까지 2026년까지 시금고 사업을 담당할 금융기관을 선정한다.
특히 올해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트렌드에 맞춰 해당 ▲지역사회 지여실적 ▲시 협력사업계획 ▲녹색금융 이행실적 등의 항목을 평가기준에 추가했다.
제로페이와 제로배달 모두 사업성은 높지 않다. 대신 소상공인 지원 강화와 골목상권 활성화라는 사회공헌적 성격이 강하다. 새로운 평가기준에 부합할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다만 페이와 배달 사업 모두 중소사업자 참여 강화 측면에서 시작됐다는 점에서 이들의 제외시킨 변화가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제로배달 참여사 관계자는 "신한이 참여하면 결국 기존 대기업에 새로운 대기업이 도전하는 그림만 나올뿐 중소사업자 입장에서는 이익이 없다"며 "결국 서울시 주력 파트너인 신한만 살아남을 것"이라며 불만을 표했다.
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