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전국 부산·울산·경남

속보

더보기

경남 57명 신규 확진…거리두기 3단계 연장

기사입력 : 2021년08월06일 14:37

최종수정 : 2021년08월06일 14:37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에서 남창원농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집단감염 등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57명이 발생했다.

권양근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은 6일 오후 1시30분 코로나19 관련 온라인브리핑을 통해 "5일 오후 5시 이후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57명이 발생해 누적 확진자는 7726명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확진자 중 입원 1100명, 퇴원 6606명, 사망 20명이다.

권양근 경남도 복지보건국장(왼쪽)이 6일 오후 1시30분 코로나19 관련 온라인브리핑을 하고 있다.[사진=갱남피셜 캡처] 2021.08.06 news2349@newspim.com

해외입국 1명을 제외한 56명은 모두 지역감염 확진자이다.

감염경로별는 지역 내 확진자 접촉 30명, 조사중 15명, 창원소재 마트 관련 5명, 타지역 확진자 접촉 4명, 창원 제조업 사업장 관련 1명, 수도권 관련 1명이다.

지역별로는 창원시 20명, 김해시 13명, 함안군 7명, 통영시 4명, 사천시 3명, 거제시 3명, 밀양시 2명, 남해군 2명, 고성군 1명, 함양군 1명, 합천군 1명이다.

창원 확진자는 20명(경남 7673~7681, 7685, 7686, 7697~7700, 7705~7709번)이다.

11명(경남 7674~7680, 7685, 7697~7699번)은 지역 내 확진자의 접촉자로, 7명은 가족이고, 직장동료와 지인 각 2명이다. 5명(경남 7700, 7706~7709번)은 각각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1명(경남 7686번)은 창원 제조업 사업장 관련 확진자의 지인이다. 이로써 창원 제조업 사업장 관련 누적 확진자는 30명이다.

창원 확진자 3명(경남 7673, 7681, 7705번)과 함안 확진자 2명(경남 7726, 7727번)은 남창원농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1층 마트 관련 확진자로 3명은 이용자이고 1명은 직원, 1명은 접촉자이다.

추가 확진자 발생으로 창원 소재 마트 관련 확진자는 21명이다. 현재까지 9475명에 대해 검사한 결과 양성 21명, 음성 211명, 9243명은 검사를 진행 중이다.

창원 만남의 광장, 용지 문화공원, 가음정 공원, 마산역, 팔용미관광장 임시선별검사소에서 남창원농협 방문자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권양근 국장은 "지난달 26일부터 8월 4일까지 남창원농협 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 1층 마트를 방문하신 도민들께서는 신속히 검사를 받아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함안 확진자는 5명(경남 7723~7725, 7728, 7729번)이다.

3명(경남 7725, 7728, 7729번)은 각각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2명(경남 7723, 7724번)은 도내 확진자의 접촉자로, 1명은 직장동료이고, 1명은 동선 접촉자이다.

김해 확진자는 13명(경남 7689~7694, 7716~7722번)이다. 9명(경남 7689, 7690, 7694, 7716~7721번)은 지역 내 확진자의 접촉자로, 8명은 가족이고 1명은 지인이다.

2명(경남 7692, 7693번)은 타지역 확진자의 접촉자로 분류됐다. 2명(경남 7691, 7722번)은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통영 확진자는 4명(경남 7687, 7688, 7712, 7713번)이다. 2명(경남 7687, 7688번)은 도내 확진자의 가족이다. 1명(경남 7712번)은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1명(경남 7713번)은 해외입국자이다.

사천 확진자는 3명(경남 7682~7684번)은 모두 도내 확진자의 접촉자로 2명은 지인이고, 1명은 가족이다.

거제 확진자는 3명(경남 7702~7704번)이다. 2명(경남 7703, 7704번)은 각각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 중이다. 1명(경남 7702번)은 타지역 확진자의 가족이다.

밀양 확진자 2명(경남 7710, 7711번)은 지역 내 확진자의 직장동료로 격리 해제 전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았다.

남해 확진자는 2명(경남 7714, 7715번)이다. 1명(경남 7714번)은 타지역 확진자의 직장동료이고, 1명(경남 7715번)은 수도권 확진자의 가족이다.

고성 확진자 1명(경남 7696번)과 합천 확진자 1명(경남 7701번)은 각각 증상발현으로 검사했고 감염경로는 조사하고 있다. 함양 확진자 1명(경남 7695번)은 지역 내 확진자의 가족이다.

도는 이날 창원시에 코로나19 진단검사 대상자 증가에 따른 진단검사 인력을 긴급 지원했다. 창원소재 마트 관련 방문자에 대한 진단검사 실시 재난문자 안내에 따라 전날 임시선별검사소의 진단검사 대상자가 급격히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에 폭염으로 인한 도민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진단검사 대상자의 대기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이 적은 지역 내 10개 시군에 협조를 요청해 검체채취 지원인력 총 32명을 창원시에 긴급 투입했다.

권양근 국장은 "정부는 비수도권 사회적거리두기 3단계 조치를 9일부터 22일까지 2주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면서 "도내 사회적거리두기 4단계 지역인 창원, 김해, 함안, 함양 4곳을 제외한 모든 지역은 현 3단계 조치를 연장한다"고 했다.

경남의 확진자 번호는 음성 3명을 양성으로 분류해 번호를 부여하는 바람에 실제보다 3번이 더 높다.

news234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