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뱅크 27일 출범 4주년
금리상승·금융지원 종료로 부실률↑
차별화된 CSS 구축 선결돼야
[서울=뉴스핌] 홍보영 기자=중·저신용자 대출 확대가 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수익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나왔다.
22일 나이스신용평가가 '인터넷전문은행 출범 후 4년, 우리가 기대했던 것은 달성되었는가'란 주제로 개최한 세미나에서 박선지 금융평가본부 수석연구원은 "금융당국의 권고로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 과제를 떠안은 인터넷은행의 수익성·건전성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대출금리 상승, 금융당국의 코로나19발(發) 금융지원 종료로 중·저신용 취약차주의 상환능력 저하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에서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사옥. (사진=각사) |
인터넷은행은 설립 취지였던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있어서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해 말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KCB기준 4~10등급) 비중은 12.1%로 은행 전체 24.2%에 비해 저조하다.
박 연구원은 중금리 대출확대를 위한 실질적 유인 부족, 차별화된 CSS(Credit Scoring Systim) 구축 지연 등을 인터넷은행이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을 늘리지 못한 배경으로 꼽았다.
이에 금융당국이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를 주문하면서 인터넷은행들은 대출 확대 계획을 제출했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2023년 말까지 중·저신용자 신용대출을 각각 30%, 32%로 늘릴 방침이다. 9월 출범을 앞둔 토스뱅크는 올해 말 34.9%에서 2023년 말 44%까지 중·저신용자 대출을 늘리겠다는 공격적 목표를 제시했다.
박 연구원은 "토스뱅크의 혁신적인 목표 제시는 자체 구축한 신용평가시스템에 대한 자신감이 드러나는 대목"이라면서도 "상대적으로 부실률이 높은 중·저신용자 대출 늘리는 과정에서 상당기간 수익성 확보를 놓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인터넷은행 중에서는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확대에 따른 리스크가 가장 낮다고 봤다. 그는 "12조원 이상의 고신용자 가계대출을 확보하고 있는 카카오뱅크의 경우 중·저신용자 대출 부실에 대한 대응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중금리 대출 확대를 위해서는 차별화된 CSS 구축이 선결돼야 한다. 박 연구원은 "신용평가시스템의 차주 선별능력, 부실채권의 위험관리 능력 등이 인터넷은행의 사업성과를 가를 것"이라며 "빅데이터 기반 신용평가 구축을 추진 중이지만, 안정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본다"고 관측했다.
지속적인 자본 확충을 기반으로 높은 성장성을 달성한 점은 인터넷은행의 성과다.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는 2019년 특례법 시행 이후 각각 카카오, 비씨카드로 최대주주를 변경, 공격적으로 자본을 확충해왔다.
박 연구원은 "카카오뱅크의 자산규모는 광주은행을 추월했고, 케이뱅크도 최근 가상화폐 계정 서비스 활성화와 유상증자에 힘입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소비자 편의성 개선, 은행산업의 디지털금융 경쟁 촉진을 야기한 점도 인터넷은행의 괄목할만한 성과"라며 "인터넷은행의 도전에 직면한 시중은행들은 최근 조직 슬림화, 비대면 상품 확대 등 과감한 디지털 혁신 행보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금융지주사의 인터넷은행 진출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언급했다. 박 연구원은 "금융지주들도 최근 몇 년 간 투자와 경험을 통해 핀테크 장점을 흡수해왔다"며 "인터넷은행업에 진출했을 때 고객 충성도, 상품개발 능력 등의 장점을 활용하면 우위를 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금융당국의 진입허가란 선결요건이 필요하고, 비대면 상품 개발 노하우 등을 습득해야하는 만큼 단기간 내 인터넷은행 진출은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byh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