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골프백서 발간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유원골프재단 2020 골프백서에 따르면 2019년 기준, 한국 골프시장 규모는 지난 2년간 약 6144억 원가량 성장한 12조 999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연평균 2.45%씩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유원골프재단은 필드골프, 스크린골프, 프로 및 아마추어 대회, 용품, 시설, 중계권 등 골프와 관련된 스포츠 산업의 시장구조와 규모를 분석한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0'을 18일 발간했다.
![]() |
백서 연구진은 스포츠시장가치망 개념에 따라 골프 산업을 크게 '본원시장'과 '파생시장'으로 구분했다. 본원시장은 골프 산업의 핵심 상품인 골프 경기에 직접 참여하거나 이벤트 대회를 관람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거래되는 시장이며, 본원시장을 중심으로 파생된 다양한 연관시장(용품·골프장운영·시설관리·중계권 등)이 파생시장이다. 본원시장의 규모는 2019년 기준, 전체 한국 골프시장 규모의 40.1%인 약 5조 2,137억 원이며, 파생시장은 59.9%인 7조 7856억 원가량인 것으로 집계됐다.
본원시장 내에서는 일반 골퍼들의 라운딩 비용인 필드골프(참여 비이벤트 필드) 시장이 전체 본원시장의 58.3%인 3조 381억 원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스크린골프(참여 비이벤트 스크린) 시장은 전체의 26.8%인 1조 3973억 원, 실외연습장과 실내연습장은 각각 6051억 원(11.6%)과 1106억 원(2.1%)을 기록하며 필드골프 시장의 뒤를 이었다. 골프 관람시장의 본원시장(관람료) 규모는 27억 원가량으로 규모는 미미한 수준이나, 각종 파생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 |
[자료= 유원골프재단] |
파생시장 중에서는 5조 7447억 원 규모로 전체의 73.8%를 차지한 용품시장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2위와 3위는 7710억 원(9.9%)을 기록한 시설운영 시장, 6115억 원(7.9%)으로 집계된 골프관광 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용품시장 중 2차 파생시장인 유통시장의 규모는 전체 용품시장 규모의 약 66%를 차지하는 약 3조 7580억 원으로 분석됐다.
소비의 형태와 대상에 따라 분류한 골프 개별 시장가치망 중에서는 총 규모가 10조원을 돌파한 필드골프(참여 비이벤트 필드) 시장이 전체 골프시장의 76.9%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스크린골프(참여 비이벤트 스크린) 시장이 1조 6410억원으로 지난 2년간 약 1535억 원가량 증가하며 전체의 12.6%에 달할 정도로 성장했다.
한국 골프시장의 규모는 2014년 약 10조 3384억원에서 2019년 12조 9993억에 이르기까지 6년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참여 비이벤트 필드, 스크린골프 시장 및 용품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는 데 반해, 프로골프 본원시장 및 중계권 시장, 머천다이징 시장 등은 정체 또는 축소되는 추세이다. 본원 시장과 파생시장 간의 비율은 대체적으로 4:6 비율 수준을 꾸준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에서 관람 골프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은 3.8%에서 3.2%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유원골프재단 김영찬 이사장은 "골프산업의 시장구조 및 규모를 담은 골프산업백서를 올해 세 번째로 발간하게 되어 진심으로 기쁘게 생각하며, 이번 백서가 2018년과 2019년 2년간의 국내 골프산업의 발자취를 돌아보고 향후 골프산업이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국 골프산업백서 2020은 2018년부터 2019년까지 2개년 간의 시장 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골프산업을 분석한 백서다. 유원골프재단은 2017년과 2019년에 이어 올해 세 번째로 골프산업백서를 발간했다.
finevie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