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선 투과 조사·내시경 조사·재질 분석 등 과학적 조사 실시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출토 당시 흙과 녹으로 뒤덮혀 있던 통일신라 시대 금동보살입상의 보존처리가 5년 만에 완료됐다. 이번 보존처리에는 3차원(3D) 스캔과 이미지 복원 등 첨단 과학기술이 동원됐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센터장 정소영)는 "2015년 10월 강원도 양양 선림원지에서 출토된 금동보살입상의 보존처리를 끝마쳤다"고 3일 밝혔다.
선림원지 금동보살입상은 높이 38.7cm, 대좌(불상을 놓는 대)는 14.0cm, 무게 약 4.0kg, 대좌(부처의 몸에서 나온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의장)는 약 3.7kg이며 출토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는 보살입상으로는 역대 최대 크기의 불상이다.
화려하게 조각한 대좌와 광배도 그대로 남아있어 출토 당시부터 큰 관심을 받았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는 출토 이후 지금까지 5년의 시간을 들여 보살입상의 금빛과 본래의 형태를 되살려냈으며, 제작기법과 제작연대를 규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금동보살입상 보존처리 전(왼쪽), 보존처리 완료 [사진=문화재청] 2021.02.03 89hklee@newspim.com |
금동보살입상은 출토 당시 표면에 흙과 초록색 녹이 두껍게 뒤엉켜 있었으며 오른쪽 발목은 부러져 대좌와 분리돼 있었고 광배는 여러 조각으로 파손돼 긴급한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태였다. 이에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발굴조사를 수행한 (재)한빛문화재연구원으로부터 금동보살입상을 긴급 인수해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과학적 조사와 보존처리를 실시했다.
우선, 금동보살입상의 정밀한 보존상태 파악을 위해 X선 투과 조사, 내시경 조사, 재질 분석 등 과학적 조사를 실시했으며, 이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녹 제거, 강화처리, 접합 복원 등 보존처리를 했다.
조사 결과 금동보살입상은 구리합금으로 형태를 만들고 표면을 도금한 금동 재질이기 때문에 부식물 위의 도금층이 불안정한 상태였고, 그 위에는 초록색의 청동녹이 덮여 있었다. 본래 색상인 도금층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청동녹을 제거해야 하나 도금층과 단단하게 부착돼 있어 현미경으로 확대 관찰하며 녹을 한 겹 한 겹 벗겨내는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과정을 거쳤다. 이 녹 제거 과정이 금동보살입상의 원형과 가치를 살리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었기 때문에 4년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금층은 선명하게 드러났고, 도금층 위에 섬세하게 그려진 먹선도 찾을 수 있었다. 먹으로 그린 부분은 눈썹, 눈(눈매, 눈동자), 수염, 대좌의 투각된 안상 테두리 등 모두 4곳에서 확인됐다. 특히, 현미경 확대 관찰을 통해 청동녹 아래에 먹으로 그려진 눈동자까지 찾아낼 수 있었다.
금동보살입상은 출토 당시 현장에서 긴급 수습했기 때문에 이후의 보존처리 과정에서 유물에 남아있는 중요 자료도 얻을 수 있었는데, 금동보살입상의 내부와 표면에서 수습한 종이 조각과 금박종이었다. 조각에는 명문이 없고 일부만 남아있어 용도 파악은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진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X선 투과 조사이미지 [사진=문화재청] 2021.02.03 89hklee@newspim.com |
다만 종이 재질 파악을 위한 섬유 분석 결과 모두 닥나무 인피섬유의 닥종이로 나타났고 방사성탄소연대 측정 결과 7~9세기의 절대연대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804년(애장왕 5년) 동종이 제작되는 등 선림원이 활발히 경영되던 시기를 고려할 때, 이 결과를 통해 금동보살입상이 통일신라 시대의 작품임이 재확인됐다.
또한 보살입상의 표면 분석 결과, 도금층에서 높은 함량의 수은과 알갱이 형태의 금을 확인해 금분과 수은을 섞는 아말감 도금법을 사용하여 제작됐다는 것도 밝혀졌다. 그리고 금동보살입상의 장식 뒷면, 대좌 귀꽃 뒷면 등 일부에서 관찰되는 붉은색 안료는 진사(황하수은 관물 원료로 제조된 적색 안료)와 연단(납을 부식시켜 제조한 적색 안료), 진사가 혼합된 붉은색 안료로 파악됐고, 입술에도 붉은색 안료가 미세하게 남아 있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금동보살입상의 형태 복원을 위해 한빛문화재연구원과 함께 3차원(3D) 스캔과 이미지를 복원한 결과, 금동보살입상의 본래 모습을 복원할 수 있었다. 금동보살입상은 보살상, 광배, 대좌와 함께 장신구인 보관(불상 머리 위에 얹은 보석이나 금속 관), 영락장식(구슬 장신구), 정병(목이 긴 형태의 물병) 등을 별도로 제작 후 각각 결합하는 형태인 것이 확인되었다. 다만, 출토 과정에서 일부 형태가 변형돼 접합이 어려운 곳도 있었다.
현재 보존처리가 완료된 금동보살입상의 부러진 오른쪽 발목은 아쉽게도 대좌와 접합이 어려운 상태다.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올해 3D 스캔 데이터와 3차원 프린트 등 첨단기법을 이용하는 디지털 복원으로 금동보살입상을 대좌에 연결시킬 계획이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