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환경부·과기정통부, 군 차량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 협력
정부 "군용 장비 성능 보장 범위 내에서 미세먼지 발생 최소화"
[서울=뉴스핌] 하수영 기자 = 정부가 장병들과 국민들의 건강을 해치는 군 차량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해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구개발에 나선다.
21일 국방부는 "대기 환경 오염이 심해지고 범정부적으로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력하는 상황에서 군용 장비의 성능을 보장하는 범위에서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해 환경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력해 군용 장비에 맞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미세먼지 저감장치 장착 전(사진 왼쪽)과 장착 후 [사진=국방부] |
먼저 환경부는 현재 운행하는 군 표준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군 표준차량을 대체하는 중형표준차량은 미세먼지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지만, 이미 운영하고 있는 표준차량은 미세먼지 저감장치가 없고, 수명이 최대 20년이어서 장기간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지난 2019년 4월 국방부와 환경부 간 '군부대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시 미세먼지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3년간 총 27억 원 예산을 투자해 기술을 개발할 방침이다.
국방부는 "이 기술은 미세먼지 저감기술(DPF)과 질소산화물 저감기술(SCR)의 복합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군 표준차량 3종에서 배출되는 매연(PM)을 92%이상, 질소산화물(NOx)을 70% 이상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군사요구도 기준에 적합하고 대기오염 물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국방부·환경부·연구기관(한국자동차연구원)이 긴밀하게 협업해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부연했다.
표준 군용차 [사진=국방부] |
과기정통부는 특수차량, 중소형 연안 선박, 소규모 소각로 등 비도로 오염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 신기술을 활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특수차량의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전투기 견인차량 등의 군 특수차량을 대상으로 플라즈마(고체, 액체, 기체와 같은 물질의 한 상태)를 이용한 실증연구(개발된 기술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여기에 지난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총 74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군 특수차량이나 건설장비는 저속·단시간 주행 위주로 차량을 운행하고 있다"며 "이러한 경우에 기존 미세먼지 저감장치는 고장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하면 이 문제를 개선할 수 있기 때문에 연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서현진 소령(공군 제10전투비행단 수송대대장)은 "미세먼지로 인해 국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는 실정에서 수도권에서 군 차량을 운영하는 대대장으로서 차량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심해 왔다"며 "제10전투비행단 수송대대에서 플라즈마 저감장치 연구개발을 위해 시제품 검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효과를 검증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서 기쁘게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송영훈 기계연구원 환경시스템연구본부장은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를 상용화하기 위해서는 적용에 앞서 실증연구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며 "군용 장비를 대상으로 실증연구를 진행할 수 있게 돼 앞으로 플라즈마 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저감장치 상용화와 확대 적용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국방부는 "정부는 미세먼지 저감장치 개발에 적극 협력해 장병들의 건강을 지키고, 국민들이 걱정하는 미세먼지 발생을 줄여 깨끗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계속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suyoung071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