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3444억 대비 150배 성장…'KODEX 200' 9.3조로 순자산 1위
지난해 ETF 신규 자금 유입 6.7조…인컴형 상품 상장 활발
"글로벌 시장 대비 비중 낮아…한국 ETF시장 성장 잠재력 커"
[서울=뉴스핌] 이현성 기자 = 지난해 상장지수펀드(ETF) 순자산총액이 50조원을 돌파하고, 상장종목 수는 450종목을 기록하며 국내 ETF 시장이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ETF 순자산총액은 51조7000만원으로 전년 41조원 대비 26.1% 증가했다.
2002년 시장 개설 당시의 3444억원에 비해서는 150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순자산총액 1위 종목은 'KODEX 200'으로 9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ETF 시장 전체의 18%에 해당한다.
이 같은 결과는 기관투자자의 ETF 투자 선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기관투자자가 선호하는 순자산총액 1000억원 이상의 대형 ETF가 지난해 9종목 증가하면서 총 62종목이 됐다. ETF시장은 코스피시장에 비해서도 기관투자자의 비중이 높고, 개인투자자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만 투자자별로는 개인 38.6%, 기관 32.7%, 외국인 28.7%로 나타나 ETF 시장 전반에서는 균형잡힌 시장의 모습을 보였다는 게 거래소 측 평가다.
ETF시장 순자산총액 및 상장종목수 추이 [자료=한국거래소] |
상장종목 수도 역대 최다다. 지난해 48개 종목이 새롭게 상장, ETF 종목 수가 총 450종목(국내형 335개, 해외형 115개)이 됐다. 국내형 35개, 해외형 13개 종목이 신규 상장했고, 유형별로는 주식형30개, 채권형 8개, 혼합자산·원자재 8개 등이 신규 상장 했다. 한편 11개 종목은 상장폐지됐다.
상장 유형별로는 인컴형 상품의 상장이 활발했다. 거래소 관계자는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 등이 이어지면서 채권 이자, 배당금, 부동산 임대수익 등 현금 수익을 기반으로 설계된 '인컴형 ETF 상품' 상장이 많았다"고 전했다.
지난해 ETF 시장으로 신규 유입된 자금은 6조7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자금유입 1위 종목은 'KODEX 200'으로 1조3000억원이 새로 들어왔으며, 'TIGER 200'은 1조1000억원의 자금이 몰리면서 2위를 차지했다.
다만 주식시장 전반의 거래 부진으로 ETF 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1조3300억원을 기록하며 2018년 말 대비 8.8% 감소했다. 그 중에서 코스피시장의 일평균 거래대금은 23.8% 감소했다.
일평균 거래대금 1위 종목은 'KODEX 레버리지'로 2064억원의 자금이 몰렸다. 이는 ETF시장 전체 일평균거래대금의 15.3% 규모다.
ETF 종목의 평균수익률은 6.54%로 상승종목(259종목)이 하락종목(143종목)보다 많았으며, 국내 주식형 ETF 평균수익률은 7.83%로 코스피 수익률 7.67%를 상회했다.
종목별로는 상반기 중국증시 상승에 힘입어 'TIGER 차이나 CSI300 레버리지(합성)'가 수익률 1위(79.8%)에 올랐다. 수익률 상위 5종목은 모두 해외 시장대표(CSI 300, S&P 500 등) 지수를 추종하는 ETF(레버리지 4종목 포함)가 차지했다.
수익률 하위 1위는 'KODEX WTI 원유선물 인버스(H)'로 -32.7%의 수익률을 기록했다.
한편 주식시장 시가총액 대비 국내 ETF 시장의 순자산총액 비율은 2.8%로 미국(11.7%) 등 해외 주요시장과 비교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거래소 측은 이와 관련 향후 한국 ETF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크다고 봤다.
거래소는 2020년에도 투자자들이 ETF를 자산관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인컴형 상품 상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국내외 리츠, 채권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상품 공급을 확대해 투자자의 안정적인 수익 실현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투자자들의 해외 직접투자 수요를 국내를 흡수하기 위해 다양한 글로벌 상품 공급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글로벌 트렌드에 부합하는 ESG, 원자재 등과 연동된 ETF를 신규 상장해 해외 상품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했다.
이어 "해외 직접 투자와 비교해 국내 상장 ETF에 적용되고 있는 불평등한 과세체계를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slee@new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