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창포리서 부활한 겨울별미 '청어 과메기'
창포리 어민, '청어과메기' 영어조합 결성,상표등록...부자어촌 꿈꿔
[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겨울 별미 '과메기'가 돌아왔다.
'청어 과메기'의 고장 경북 영덕군 강구면 창포리의 '청어 과메기' 덕장[사진=남효선 기자] |
해풍에 얼었다 녹았다를 반복하며 잘 숙성된 '과메기'는 동해연안 항포구 사람들에게는 먹을거리가 부족했던 1960년 대의 아련한 맛을, 도시민들에게는 쫄깃하면서도 부드러운 식감과 단백질이 가득담긴 겨울 별미로 인기다.
겨울로 접어들면서 경북 영덕을 비롯 동해연안의 해촌은 겨울철 별미로 인기가 높은 '과메기(관목어)'를 말리느라 분주하다.
'과메기'가 최근 웰빙 붐을 타고 경북 동해연안 항포구 어디서나 맛볼 수 있지만 그중 가장 각광받는 것은 '영덕 청어 과메기'이다.
포항 등지에서는 대개 '꽁치 과메기'를 만나기가 일쑤이나 영덕에서 만나는 과메기는 옛 전통을 오롯이 담아 말린 '청어 과메기'이다.
영덕 중에서도 '청어 과메기'를 제대로 맛 보려면 '대게' 고장으로 이름 난 영덕 강구항을 지나 북쪽으로 해안도로를 타고 조금만 올라가면 자그마한 포구를 만난다.
예부터 '청어 과메기' 고장으로 이름난 영덕군 강구항 창포리이다.
창포항에 들어서면 눈 앞에 장관이 펼쳐진다. 푸른 동해 자락을 끼고 조성된 '청어과메기 덕장'이다. 어민들이 삼삼오오 덕장을 앞에 두고 '청어 과메기' 손질에 여념이 없다.
'청어 과메기'가 겨울철 별미로 새롭게 자리 잡은 것은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몇 몇 애주가들 사이에서 겨울철 안주로 인기를 끌다가 불과 수 년 사이에 동해연안 해촌마을을 먹여 살리는 효자 특산물로 자리잡았다.
[영덕=뉴스핌] 남효선 기자 = '청어 과메기'의 고장 경북 영덕군 강구면 창포리의 '과메기' 덕장에 잘 손질된 청어가 해풍에 익어가고 있다. 2019.11.23 nulcheon@newspim.com |
◆고문헌에는 관목어. 연관목...'과메기'는 동해연안 방언
과메기의 어원은 '관목어(貫目漁)'에서 찾는다. 일테면 '고기 눈을 찔러 나무에 걸어 놓은 고기'라는 의미다. 해촌사람들은 관목어의 기원을 이렇게 설명한다.
"동해 연안 해촌마을의 담장은 대개 싸리나무로 세운 울타리가 대부분이었다. 파도가 일고 해일이 넘치는 겨울철이면 해류를 타고 북으로 이동하던 청어가 해일과 함께 싸리나무 울타리에 와서 꽂힌다. 싸리나무 울타리에 걸린 청어는 해풍에 몸을 내맡기고 며칠을 얼었다, 녹았다 하면서 퍼덕퍼덕하게 건조된다. 이렇게 며칠 밤낮을 얼었다가 녹으면서 해풍에 마른 청어는 육질이 쫀득쫀득한 '관목청어'로 변한다"
이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청어 과메기'이다. 당초 관목어가 동해연안 지방의 방언으로 굳혀진 것이 오늘날의 과메기인 셈이다.
1832년과 1871년 발간된 '영일읍지'와 '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해풍에 얼면서 말려진 관목어가 진공품으로 선택된 지역은 연일과 장기 두 곳으로 확인된다.
겨울철 별미로 인기를 끌고 있는 '청어 과메기'[사진=남효선 기자] |
이들 옛 문헌은 '매년 겨울이면 청어가 반드시 연일과 장기지역에서 제일 처음 잡히는데 먼저 나라에 진공한 후에야 모든 고을에서 이를 잡았다. 청어가 잡히는 정도가 많고 적음에 따라 그 해의 바다농사 풍흉을 점쳤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이 지역 풍습을 기록하고 있는 '소천소지'에는 '동해안 지방의 한 선비가 겨울에 한양으로 과거를 보러 가기 위해 해안가를 가다가 민가는 보이지 않고 배는 고파오는데 해변가를 낀 언덕 위의 나무 가지에 고기가 눈(目)이 꿰인 채로 얼말려(얼면서 마른 상태를 이르는 경상도 방언) 있는 것을 보고 찢어 먹었다.너무나 맛이 좋아 과거를 보고 내려온 그 선비는 집에서 겨울마다 생선 중 청어나 꽁치 등 눈을 관통할 수 있는 어류의 눈을 꿰어 얼 말려 먹었다'고 전하고 있다.
또 이규경의 '오주연문장전산고'에는 '청어를 연기에 그을려서 부패를 방지했는데 이를 연관목' 이라고 한 기록도 전해진다.
'규합총서(閨閤叢書)'에는 '비웃(청어) 말린 것을 세상에서 흔히 관목이라 하나, 이는 잘못 부름이요, 정작 관목은 비웃을 들어 비추어 보아 두 눈이 서로 통하여 말갛게 마주 비치는 것을 얼 말려 쓰면 그 맛이 기이하다'고 기록하고 있다.
경북 영덕군 창포리의 '청어 과메기' 덕장 작업 모습[사진=남효선 기자] |
◆ 동해연안 해촌의 '염장술'이 빚은 천연 발효 먹거리 '청어 과메기'
동해연안 해촌은 예부터 염장기술이 발달한 곳이다.
경북 울진지방은 불과 60여 년 전인 1950년 말까지도 '바닷물을 끓여 만든' 천일염인 '자염(煮鹽)' 생산지로 이름높았다.
오늘날처럼 냉장고 따위의 냉장시설이 발달하지 못했던 시절, 과메기는 이른바 '냉훈법'의 효시인 셈이다.
이같은 냉훈방식으로 생선을 갈무리하는 습속은 과메기뿐만 아니라, 가자미, 가오리, 열기, 명태 따위의 어물도 같은 방식으로 저장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강원도 인제지방의 황태덕장은 대표적인 냉훈방식 처리장인 셈이다.
'청어 과메기'의 고장인 경북 영덕군 강구면 창포리의 '과메기' 덕장 작업 광경[사진=남효선 기자] |
◆ 사라진 청어 되돌아오다...올 영덕지역 어획량 3562톤
청어 과메기가 겨울철 별미로 알려지면서 최근 강구항 일대와 창포리 연안 해촌에는 대규모 덕장이 우후죽순처럼 들어서고 있다.
과거에는 어촌의 정지(부엌)에 달린 '살창'에 꽂아 말렸다. 살창은 일종의 환기구이다.
이 살창에 청어를 걸어두면 적당한 바람으로 자연스럽게 얼었다 녹았다 하는 과정이 반복되고 살창으로 빠져 나가는 솔향까지 배여, 그 맛과 향이 독특한 과메기로 완성되는 것이다.
최근 과메기가 지역 특산물로 자리 잡으면서 청어는 꽁치로 대체됐다.
이는 청어 어획량이 급격하게 준데도 그 원인이 있지만, 대량생산이라는 상혼에 떼밀렸다는 것이 좀더 직접적인 이유이다.
청어는 꽁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름기가 훨씬 많은 어종인 까닭에 청어를 과메기로 완성하기 위해서는 대략 6~7일 이상이 소요된다.
반면에 꽁치는 3~4일이면 과메기로 완성할 수 있다. 그만큼 가공 시간이 덜 소요돼 청어과메기보다 꽁치과메기가 쉽게 대중화된 셈이다.
해풍에 작 익힌 '청어 과메기'[사진=남효선 기자] |
◆영덕 창포리 '청어 과메기' 원조로 부활
지난 1980년대 이후 거의 잡히지 않았던 청어가 지난 2010년부터 급격하게 어획량이 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 10월 영덕군의 청어 어획량은 3562톤으로 지난해 대비 약 30%의 생산량 증가와 영덕군의 정책적인 지원에 힘입어 올해 '청어 과메기' 생산 어가는 70개소로 늘어났다.
사라진 청어가 동해 연안에 대거 출몰하자 영덕 강구항 인근의 해촌주민들은 앞다투어 '청어과메기 덕장'을 설치하고 과메기 생산.가공에 팔을 걷었다.
영덕 해촌 주민들이 본격적으로 '청어 과메기' 생산에 뛰어든 것은 지난 2013년.
영덕 어민들이 '영덕청어과메기영어조합'을 결성하면서부터이다. 이들어민들은 '영덕 청어과메기'를 상표등록하고 본격적인 영덕 청어과메기 생산에 나섰다.
인기가 치솟고 있는 청어과메기의 올해 가격은 한 두름(20마리)에 1만6000~1만800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청어 과메기' 원조마을인 경북 영덕군 강구면 창포리의 '청어 과메기' 덕장[사진=남효선 기자] |
◆ 영덕군,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 출원... '청어과메기' 생산 어가 대폭 지원
과거 진공품이던 '청어과메기'가 영덕지방에서 부활한 셈이다.
영덕군도 '청어 과메기' 생산 어가가 불어나자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다. 영덕군은 몇 해 전 경북지식재산센터와 공동으로 청어과메기의 품질특성, 생산과정, 품질 유지관리 등을 조사해 특허청에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을 출원했다.
홈페이지 개설 등 온라인상의 홍보와 판매를 강화하고 포장재 지원사업을 통해 상품을 규격화하여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개발했다.
지금 영덕 강구항과 창포리 등 영덕지방의 갯마을에는 푸른 동해를 이마에 이고 과메기가 해풍을 맨 몸으로 맞으며 익어가고 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