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원인 배터리 아니지만 ESS 생태계 위해 도의적 책임 진다"
"배터리 보호 장치·충격 감지 센서 등 화재 방치 종합 대책도 마련"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삼성SDI가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근절을 위해 최대 2000억원을 투입, '특수 소화시스템'을 구축한다.
삼성SDI는 14일 서울 중구 태평로 빌딩에서 기자 간담회를 갖고 ESS 안전 종합 대책에 대해 발표했다.
[서울=뉴스핌] 심지혜 기자 = 삼성SDI가 최근 잇따라 발생하는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 근절을 위해 최대 2000억원을 투입, '특수 소화시스템'을 구축한다. 허은기 시스템개발팀장이 특수 소화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2019.10.14 sjh@newspim.com |
권영노 삼성SDI 경영지원실장(부사장)은 "ESS에서 발화현상이 나타나도 화재로 확산되지 않도록 특수 소화 시스템을 개발했다"며 "최대 2000억원의 비용을 들여 삼성SDI 배터리가 들어간 약 1000여 곳의 ESS에 이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특수 소화시스템은 첨단 약품과 신개념 열확산 차단재로 구성돼 있다. 특정 셀에서 발화하더라도 바로 소화시키고 인근 셀로 확산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삼성SDI 기술력이 투입된 제품으로 특허까지 준비 중이다.
허은기 시스템 개발 팀장은 "열확산 차단재를 사용하면 배터리 모듈을 구성하는 셀에 화재가 발생해도 인접 셀은 150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막아준다"며 "이렇게 10여분이 지나면 열이 밖으로 빠져나가 정상화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수 소화시스템은 미국 국제 인증 기관인 UL의 최근 강화된 테스트 기준도 만족했다"며 "국내 전체 사이트에 이를 설치하는데 까지 약 6개월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SDI는 이날 ESS 화재 원인이 자사에 있지 않다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도의적 책임으로 삼성SDI가 배터리를 공급한 모든 ESS 사이트에 화재 방지를 대책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ESS는 태양광 등 신재생 에너지에서 생산한 전기를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쓸 수 있도록 하는 장치다. 날씨 등의 상황에 따라 생산이 불규칙한 신재생에너지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크게 '배터리·전력변환장치(PCS)·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너지관리시스템(EMS)'으로 구성돼 있다. 삼성SDI는 여기에서 배터리만 담당한다.
삼성SDI는 배터리 이외에서 화재가 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국내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 외부의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3단계 안전장치 설치 △ 배터리 운송이나 취급 과정에서 충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센서 부착 △ ESS 설치 및 시공상태 감리 강화와 시공업체에 대한 정기교육 실시 △ 배터리 상태(전압, 전류, 온도 등)의 이상 신호를 감지해 운전 정지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는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했다. 이는 이달 중 마무리 될 예정이다.
임영호 삼성SDI 중대형전지사업본부장(부사장)은 "자사 배터리가 화재 원인은 아니지만 국내 ESS 산업 상태계 복원을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 방안을 마련한 것"이라며 "ESS 산업을 살리자는 차원에서 관련 비용은 모두 자체 부담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번 대책은 해외 ESS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사고가 많지 않고 필요에 대해 요구받지 않아서다.
임 부사장은 "해외에서는 ESS 운영 경험이 많아 화재 사고가 많지 않다"며 "설치나 운영 과정에서도 관련된 법규를 철저히 지키고 있어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설명했다.
sj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