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건국 70년 눈부시게 발전한 중국 자본시장

기사입력 : 2019년10월02일 17:36

최종수정 : 2019년10월02일 17:36

세계 1위 은행업, 세계 2위 규모 증권·채권 시장
78년 개혁·개방으로 본격적인 성장엔진 시동

[서울=뉴스핌] 정산호 기자 = 1949년 신중국 건국 이후 중국 경제는 놀라운 성장을 이뤘다. 세계 최강으로 불리는 미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G2 반열에 올랐다. 현재 중국은 세계 1위의 은행산업(자산규모), 세계 2위의 증권 및 채권 시장을 보유한 국가다.

중국 경제 매체 메이르징지신원(每日經濟新聞)은 신중국 건국 70주년을 맞아 증권, 은행, 공모펀드 등 빠르게 성장한 중국의 자본시장을 데이터 중심으로 소개했다. 

[사진=바이두]

시가총액 기준 세계 2위 증권시장  

1990년 개장 첫해 23억8200만 위안(약 4009억원)을 기록했던 중국 증시 시가총액은 2019년 9월 30일 기준 55조 위안(약 9258조원) 규모로 성장했다. 시가총액 기준 세계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증권 시장이다. 전 세계 주요 증권거래소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다.

증시별로 살펴보면 상하이(上海)와 선전(深圳) 증시가 40조 2000억 위안(약 6770조원), 중소기업 전용증시 중소판(中小板)이 9조 2000억 위안(약 1548조원), 벤처기업 전용증시인 창업판(創業板)이 5조 6000억 위안(약 942조원)을 기록했다. 상하이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커촹반(科創板)의 시가총액은 6000억 위안(약 101조원)으로 집계됐다.

2018년 중국 증시 상장사 연간 매출 총액은 45조 위안(약 7576조원)을 돌파했다. 순이익은 3조 3800억 위안(약 569조원)으로 나타났다. 상장사 평균 연간 매출은 127억 위안(약 2조 1384억원) 규모였다.

2018년 기준 연 매출 100억 위안을 초과한 상장사는 590개였다. 20년 전인 1999년에는 10개에도 못 미쳤던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빠른 성장을 거뒀는지 알 수 있다.

증시 상장사 또한 빠르게 늘어났다. 1990년 12월 19일 8개 기업으로 시작한 중국 증시는 현재 3700개사로 늘어났다고 중국 경제 매체 상하이증권보(上海證券報)가 전했다.

시대별로 상장사 면면도 달라졌다. 중국 증시 태동기인 1990년대에는 에너지, 자동차, 식음료 등 전통산업기업이 주를 이뤘다.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전자, 통신, 컴퓨터, 바이오제약 등 첨단 과학기술 관련 주들의 상장이 줄을 잇게 된다.

2019년 기준 이들 4개 업종의 중국 증시 상장기업 수는 총 850개에 달한다. 시총가치로는 11조 위안(약 1851조원)으로 중국 증시 전체 시가총액의 1/5을 차지하고 있다.

투자 열기 또한 뜨겁다. 중국 증시 거래 계좌 수는 통계치가 발표되기 시작한 1993년 833만 개에서 2019년 8월 기준 1억5600만 개로 17배 증가했다. 투자자들은 첫 증시 개장일로부터 29년 약 7000 거래일 동안 중국 증시와 함께해 왔다.

또한 현재 중국에서는 2019년 6월 30일 기준 131개 증권사가 활동하고 있다. 총자산은 7조 1000억 위안(약 1194조원), 순자산은 1조 9600억 위안(약 330조원)에 달한다. 올해 상반기 매출은 1789억 4100만 위안(약 30조원), 순이익은 666억 6200만 위안(약 11조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업, 총자산 규모 기준 세계 1위

2019년 기준 중국 은행업계 총자산 규모는 281조 5800억 위안(약 4경 7443조원)으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신중국 원년인 1949년 예금잔고 1억 4900만 위안(약 250억원)으로 시작해 놀라운 발전을 이룬 것이다.

도약의 계기가 된 것은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차 3중전회였다. 당의 정책 중심을 경제 발전에 놓고 금융 부문의 개혁과 개방이 추진된 것이다. 이에 따라 1978년 중궈(中國, 중국)은행, 눙예(國農業, 농업)은행, 젠서(建設, 건설)은행 등 3곳의 전문화된 상업은행이 설립된다.

이후 1979년 중국 최초의 신탁기관인 중궈귀지(中國國際)신탁투자공사 설립, 국내 보험사업 재개, 1980년 환율 개혁 등의 조치가 연달아 시행된다.

 1983년에는 인민은행으로부터 기업 신용대출 및 저축 기능을 떼어내 중국공상(中國工商)은행을 설립했다. 이로써 인민은행은 중국 중앙은행으로서 기능에 충실하게 된다. 궁상은행 설립을 기점으로 중국의 현대 금융시스템의 주역들이 진용을 갖추게 된다.

끊임없는 시장화 개혁 노력으로 1986년 최초의 주식제 은행인 자오퉁(交通, 교통)은행이 설립된다. 1991년에는 선전파잔(發展, 발전)은행이 선전증시에 상장되며 ‘중국 최초의 상장은행’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2019년 현재 48개 은행이 중국 증시에 상장되어 있다.

2019년 영국 경제 잡지 더 뱅커(The Banker)가 발표한 ‘세계 1000대 은행 리스트’에 136개 중국은행이 이름을 올렸다. 특히 중국 궁상은행은 7년 연속 1위를 기록하며 시선을 끌었다.

은행업은 실물경제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서로서로 이끌어주며 성장해 왔다. 그동안 은행은 국가 대형 건설 프로젝트 지원, 기업활동, 의식주 개선 방면에 크게 이바지했다.

신탁업, 실물경제와의 가교 역할

중국의 신탁업은 1978년 개혁개방의 흐름을 타고 1979년 중외 합자경영기업법이 시행 되면서 닻을 올렸다. 약 40년간 중국 신탁업은 실물과 자본, 자금시장을 서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맡아왔다.

산업 전환기와 경제 순환 주기별 위기의 순간마다 제 역할을 톡톡히 수행해 왔다. 2019년 3월 기준 전국 68개 신탁회사가 관리 중인 자산 규모는 22조5400억 위안(약 3799조)에 달한다. 2017년 기준 투자자에게 돌아간 신탁 수익은 6831억3600만 위안(약 115조원)으로 집계됐다.  

또한 2016년 중국 당국이 공익 목적의 기금 운용 방안을 다룬 자선법(慈善法) 및 자선신탁관리방법을 제정함에 따라 해당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는 209개 공익신탁이 운용되고 있다. 규모는 23억1000만 위안(약 3893억원)이다.

세계 2위 규모 채권시장

2019년 상반기 기준 중국 채권시장 규모는 91조 800만 위안(약 1경5630조원)으로 미국에 이어 세계 2위다. 국채 발행이 재개된 1981년부터 매년 평균 30%가 넘는 규모의 성장을 이뤄냈다. 이는 같은 기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증가치보다 2배나 빠른 성장세를 나타냈다.

채권 종류도 다양해 졌다. 국채만 거래되던 채권 시장에 지방채, 금융채, 사채 등 10여 종의 채권이 등장했다. 최근 가장 빠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채권종류는 지방채다. 발행 규모 기준 2013년 전체 3% 미만이었던 지방채는 2019년 상반기 기준 31%까지 규모가 커졌다. 

공모펀드

중국의 공모펀드는 21년 전 처음 모습을 드러냈다. 1998년 3월 궈타이(國泰)기금과 난팡(南方)기금이 상하이와 선전에 설립되며 시작을 알렸다. 2019년 기준 중국에는 130개 공모펀드사가 활동하고 있다. 운용하고 있는 펀드 상품은 6000개에 달한다. 자산관리 규모는 13조 7000억 위안(약 2308조 1760억원)으로 알려졌다.

올 상반기 공모펀드 이윤총액은 2조 7600억 위안(약 464조원), 배당금은 2조 6900억 위안(약 453조원)으로 집계됐다.

공모펀드는 불특정 다수로부터 모인 자금을 바탕으로 증권 등에 투자해 이익을 거두는 증권투자기금을 가리킨다. 주로 일반투자자를 대상으로 모금하는 특성상 투자 대상과 운영에 제약이 많다.

 

chu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SKT, 고객신뢰위원회 출범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SK텔레콤이 개인정보 유출 사고의 대응책으로 고객신뢰위원회를 구성했다. 고객신뢰위원회는 안완기 전 한국생산성본부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5인 구성으로 이번 사고로 떨어진 고객 신뢰의 회복을 목표로 한다. SK텔레콤은 18일 데일리 브리핑을 개최하고 고객신뢰위원회 출범을 공식화했다. SKT는 앞선 16일 고객신뢰위원회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진행했다. 위원회 활동은 2년이다. 서울 시내 한 티월드 대리점에서 유심 교체를 진행하고 있는 모습. [사진= 김영은 인턴기자] 위원회는 안완기 전 한국생산성본부 회장(현 한국공학대학 석좌교수)이 위원장을 맡고 신종원 전 소비자분쟁조정위원장, 손정혜 법무법인 혜명 변호사, 김난도 서울대 소비자학과 교수, 김채연 고려대 심리학부 교수(전 고려대 다양성위원회 위원장)도 위원으로 참여한다. 관심이 모아졌던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서는 위원회에서 직접적으로 논의하지는 않는다. 앞서 SKT는 위원회 출범 전 위약금 면제 여부 등을 포함한 고객신뢰 회복 방안을 위원회를 통해 논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홍승태 SKT 고객가치혁신실장은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고객의 생각을 정리해 회사에 전달하는 등 고객 시각을 반영하는 역할을 위원회가 맡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에서의 청문회에서도 위약금 면제와 관련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밝힌 바 있다. 이번에 구성된 고객신뢰위원회에서 직접적으로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 결정하지는 않지만 관련한 고객들의 의견을 회사에 전달한다는 것이다. 이에 위원회에서 고객 입장을 반영한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면 SK텔레콤 이사회에서 이에 대해 추가로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객신뢰위원회는 격주로 회의를 진행하며 각종 조치에 대해 자문할 계획이다. 또한 고객 신뢰 회복을 위한 중장기적인 로드맵 마련을 회사에 요구하고 발표할 예정이다. 홍 실장은 "위원회 구성에 대해 상당히 많은 고민을 했고 위원들을 모시는 데 공을 들였다. 그동안 부족했던 부분에 대한 조언을 듣고 향후 계획에 도움을 받기 위해 위원회를 출범했다"며 "1차 회의에서 고객신뢰위원회의 운영 방안, 업무 범위 등에 대해 논의했다. 다음주 진행될 2차 회의에서 다양한 내용이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유심 카드 물량이 대량 입고되면서 유심 교체에도 속도를 낸다. 이날 0시 기준 누적 유심 교체 고객은 210만명이며 잔여 예약 고객은 669만명이다. 유심 물량의 확보로 전날 유심을 교체한 인원도 17만명으로 지난 13일 10만명 이후 4일만에 다시 10만명을 넘어섰다. 임봉호 MNO 사업부장은 "17일에 유심 물량이 87만5000개가 입고돼 오늘(18일) 30만개가 배부된다"고 전했다. SKT는 이달 말까지 500만개, 내달 추가로 500만개를 확보해 유심 교체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디지털 취약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서비스'도 19일부터 시행한다. 19일부터 6월 말까지 T월드 매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전국 도서벽지 100여 개 지역 300여 곳을 방문하기로 했으며 SKT와 멤버사 구성원이 직접 도서 벽지 노령층을 중심으로 유심보호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유심 교체 및 재설정 솔루션도 제공할 예정이다.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은 "초기 대응 측면에서 부족한 면이 많았다. 엔지니어로서 다시 한 번 사과드린다"며 "최악의 상황을 고려하고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추가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 할 것"이라고 전했다.  origin@newspim.com 2025-05-18 11:45
사진
尹 4차 공판...박희영 첫 정식재판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이번 주 법원에서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석열 전 대통령의 4차 공판이 열린다. 이태원 참사 부실대응 혐의로 기소된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박희영 용산구청장에 대한 항소심 정식 재판도 시작한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19일 오전 10시 15분 내란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4차 공판기일을 연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2일 3차 공판 때와 마찬가지로 서울법원종합청사 서관 지상출입구를 통해 걸어서 출입할 예정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3차 공판 당시 처음으로 지상으로 출입했으나 '비상계엄 선포에 대해 사과할 생각이 있느냐'는 등의 취재진 질문에 일절 답하지 않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오는 19일 오전 10시 15분 내란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4차 공판기일을 연다. 사진은 윤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서울 서초구 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 사건 3차 공판을 마치고 나오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지난 1~3차 공판에서는 윤 전 대통령 측에 불리한 증언들이 이어졌다. 검찰 측 증인인 조성현 국군 수도방위사령부 제1경비단장과 김형기 특수전사령부 제1특전대대장은 12·3 비상계엄 당일 "의원을 끌어내라는 지시를 받았다"는 취지로 진술했다. 오상배 전 수방사령관 부관은 '피고인(윤 전 대통령)과 이진우 전 수방사령관의 세 번째 통화 내용이 무엇이었나'라는 검찰 질문에 "'아직도 (본회의장에) 못 들어갔느냐'고 피고인이 말했고 '본회의장 앞까지 갔는데 사람이 너무 많아서 문으로 접근할 수 없다'고 이 전 사령관이 말하자, 피고인이 '총을 쏴서라도 문을 부수고 들어가라'고 말씀한 걸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이날 4차 공판에서는 검찰 측 증인인 박정환 육군 특수전사령부 참모장에 대한 증인신문이 진행되며, 윤 전 대통령의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에 대한 심리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법원은 지난 16일 내란 사건 전담 재판장인 지귀연 부장판사의 술접대 의혹과 관련해 "윤리감사관실에서 국회 자료, 언론 보도 등을 토대로 가능한 방법을 모두 검토해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며 "향후 구체적인 비위사실이 확인될 경우 관련 법령에 따라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앞서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4일 국회 법사위 전체회의에서 "지 부장판사가 1인당 100만∼200만원 정도의 비용이 나오는 '룸살롱'에서 여러 차례 술을 마셨고 단 한 번도 그 판사가 돈을 낸 적이 없다는 구체적인 제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 1심서 이임재 금고 3년...박희영은 무죄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오는 19일 오후 2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임재 전 서장, 송병주 전 용산서 112상황실장, 박모 전 용산서 112상황팀장 등의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진행한다. 사진은 이 전 서장이 지난해 9월 30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에서 열린 1심 선고공판에서 금고 3년형을 선고받고 나서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서울고법 형사13부(재판장 백강진)는 같은 날 오후 2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이 전 서장, 송병주 전 용산서 112상황실장, 박모 전 용산서 112상황팀장 등의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진행한다. 이들은 지난 3월 열린 공판준비기일에서 모두 혐의를 부인했다. 이 전 서장 측 변호인은 "피고인에게 과연 개별적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전 서장은 2022년 10월 핼러윈 축제 기간 경력을 투입해야 한다는 안전 대책 보고에도 사전 조치를 하지 않고, 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에 늦게 도착하는 등 지휘를 소홀히 한 혐의를 받는다. 1심은 지난해 9월 이 전 서장에게 유죄를 인정해 금고 3년을, 송 전 상황실장에게는 금고 2년, 박 전 상황팀장에게는 금고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각각 선고했다. 같은 법원 형사9-1부(재판장 최보원)는 오는 20일 오후 4시 업무상과실치사등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박 구청장 등에 대한 항소심 첫 공판기일을 연다. 박 구청장 등 용산구청 관계자는 지역 내 재난 책임자이며 참사 당일 몰린 대규모 인파로 사고를 예측할 수 있었지만, 안전관리 계획을 세우지 않고 재난 안전상황실을 제대로 운영하지 않은 혐의를 받는다. 1심은 지난해 박 구청장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으며 박 구청장과 함께 재판에 넘겨진 용산구청 관계자 3명도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이에 검찰은 즉각 항소했다. 1심 재판부는 "당시 안전법령엔 다중군집으로 인한 압사 사고가 재난 유형으로 분리돼 있지 않았고 행정안전부와 서울시 2022년 수립 지침에도 그런 내용이 없었다"며 "재난안전법령에 주최자 없는 행사에 대해선 별도 안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는 의무 규정이 없어 업무상 과실이 인정되지 않는다"고 무죄 이유를 설명했다. hong90@newspim.com 2025-05-18 06: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