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화율 높고 대체경로 확보해 피해 정도는 낮을 전망
수소·전기차 피해 가능성...소재 대체 가능해도 인증절차 필요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일본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여부를 담은 수출무역관리령 개정안 발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수출규제 항목에 탄소섬유 등 자동차 핵심부품 소재가 포함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자동차업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국산화율이 높고 다양한 루트에서 대체품 수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수소·전기차 등 미래차분야와 각종 인증절차 등 장기적인 시각에서는 대비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많다.
업계는 수출규제 범위에 포함되더라도 당장에는 큰 타격이 없을거라고 예상했다. 실제 내연기관차 부품은 95%이상이 국산화가 완료됐으며 센서 등 전장부품도 대체불가한 항목은 아니기 때문에 큰 위기가 왔다고 보긴 어렵다는 입장이다.
다만 수소전기차에 있어선 문제가 존재한다. 수소전기차 탱크의 경우 일본에서 수입한 탄소섬유로 제작중에 있다. 탄소섬유 수출 규제시 소재 수급에는 문제가 없지만 인증절차가 오래 걸린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업계 관계자는 “소재가 바뀔 경우 새로 인증을 받는 데 최소 6개월이 걸린다. 인증을 받은 후에도 자체적인 충돌 테스트 등을 거치면 1년의 시간이 소요된다”며 빠른 대처에 실패할 경우 장기적으로 위기가 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역시 자동차업계가 통상 1년의 재고를 보유중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을 전망이다. 장기적으로 센서 등의 소재를 국산화하는 방향으로 바꿔 1년 안에 라인을 정상화해야 하는 과제만 존재한다.
서울 양재동 현대기아차 본사 [사진=현대차] |
직접적인 타격은 없을 전망이지만 업계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예의주시하겠다는 태도다. 국산화 비중을 높이더라도 3만개가 넘는 소재나 부품을 교체했을 때 차량에 미치는 영향과 안정화율 등을 검증하기 위해선 오랜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생각 이상으로 자동차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수 있다”며 “정밀공작기계의 경우 국산화율이 높지만 일본 핵심부품이 그 안에 포함돼있기 때문에 규제 시 타격을 입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부품을 국산화한다고 해도 완제품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검증하는데 긴 시간이 소요된다”며 “그 과정에서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