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18일 재일교포로 자수성가한 고 윤익성(1922~1996) 레이크 사이드 컨트리클럽 창업주의 유족으로서부터 조선 16세기 중반 제작 '경포대도'와 '총석정도' 2점을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이번에 기증된 '경포대도'와 '총석정도'는 현재 전하는 강원도 명승지를 그린 가장 오래된 그림이다. 특히 16세기 감상용 실경산수화 제작 양상을 알 수 있는 유일한 현존작으로 가치가 매우 높다.
경포대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두 작품은 16세기 중엽 관동지방의 빼어난 풍경을 유람하고 난 후 감상을 그린 것이다. 그림은 풍류를 즐기는 사람들의 모습, 세세한 묘사까지 매우 흥미로우며 전체적인 표현 방법에서 16세기 화풍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현장의 특징에 맞게 화면 구성과 경관 표현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실경산수화의 전통이 정선(1676~1759) 이전부터 확립돼 있었음을 잘 보여주는 작품으로 작품을 실제로 접한 원로 미술사학자 안휘준 교수(전 문화재위원장)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16세기의 대표적인 실경산수화로 이러한 작품은 한 번 보는 인연도 맺기 힘든 그림"이라고 평했다.
기증받은 두 작품은 강원도 총석정과 경포도를 각각 단독으로 그린 실경산수화다. 특히 '총석정도'는 그림 상부에 발문이 있어 이 작품이 제작된 내력을 알 수 있다. 그림의 발문에는 인물로 덕원과 홍연이 등장한다. 아직 신원을 밝히지 못한 상산일로가 쓴 글에 따르면 1577년 봄에 홍연과 함께 금강산(풍악산)과 관동 지역을 유람하고 유산록을 작성했으며 시간이 흐른 뒤 그중 몇몇 명승지를 그려 병풍을 만들었다.
관동팔경 중 가장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총석정은 북한지역인 강원도 통천에 위치한 명소로 이 그림을 보면 총석정을 가지 않고도 실경을 머릿속에 그릴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작품이다.
'경포대도'는 아래쪽에 위치한 '죽도' '강문교'로 시작해 경포호를 넘어 위쪽에 위치한 경포대와 오대산 일대를 올려보는 구도다. 이 두 작품은 본격적인 순수 감상용 16세기 실경산수화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한국 실경산수화 이해의 폭과 수준을 높인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총석정도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이번 기증은 고 윤익성 회장 유족의 기부금으로 가능했다. 유족은 고인의 유지를 따라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를 환수해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할 것을 조건으로 (사)국립중앙박물관회(회장 신성수)에 기부금을 출연했다.
이에 국립중앙박물관은 일본 교토에 전해지던 위 두 작품을 조사하고 외부 자문위원의 검토를 받아 기증 대상품을 선정했다. 그리고 (사)국립중앙박물관회는 구입과 운송 업무를 담당해 기증품이 국내로 돌아와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될 수 있도록 협조했다.
이 기부금으로 박물관이 필요한 작품을 구입해 기증하는 방식은 국립중앙박물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다. 배기동 관장은 "앞으로 다각적인 기증 방식 등 수집 정책의 다변화를 통해 박물관 콜렉션의 수준을 한층 더 높이고, 박물관 본연의 역할인 문화유산의 보존관리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경포대도'와 '총석정도'를 오는 22일 언론에 처음 공개하며 다음날인 23일부터 9월 22일까지 '우리 강산을 그리다:화가의 시선-조선시대 실경산수화' 특별전에서 새롭게 선보인다. 아울러 특별전과 연계해 '조선 전기 실경산수화의 전통과 관동명승도'란 주제로 특별강연이 오는 31일 오후 2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