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보호시스템·통합제어 미흡 등 4가지 원인 지목
ESS 업계 "불확실성 해소에 계절적 성수기 호조...분위기 전환"
[서울=뉴스핌] 권민지 기자 = 민관 합동 에너지저장장치(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조사위)가 11일 발표한 조사 결과에 업계는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계절적 성수기를 맞이해 시장 활성화를 기대한다는 분위기다.
11일 조사위는 지난해 12월 시작된 5개월의 조사 끝에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 보호시스템 미흡 등 4가지 요인을 화재사고 원인으로 지목했다.
조사위는 "일부 배터리 셀에서 제조상 결함을 발견했으나 이러한 결함을 모사한 실증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배터리 자체의 결함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했다는 의혹이 일정 부분 해소된 셈이다.
ESS 화재사고 원인 및 안전대책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이같은 조사위의 결과 발표에 ESS 업계는 "불확실성이 해소된 만큼 하반기 시장 활성화를 기대한다"고 입을 모았다.
LG화학은 지난 1분기 ESS 사고로 인해 1200억원의 영업 손실을 냈고 이후 상반기 국내 수주를 한 건도 성사시키지 못했다.
삼성SDI도 잇따른 화재사고의 영향으로 국내 ESS 수요가 감소해 1분기 전지부문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7.9% 감소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조사결과 발표로 배터리 결함에 대한 의문이 해소됐다"며 "ESS의 계절적 성수기와 맞물려 하반기에는 국내 ESS 시장이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ESS는 정부 정책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관련 정책은 대부분 연초에 확정된다. 이로 인해 ESS의 수주는 1,2분기에 집중되고 설치는 3,4분기에 몰리는 경우가 많아 통상 ESS의 성수기는 하반기로 간주된다.
다만 구체적인 원인 지적이나 보완책이 제시되지 않아 절반짜리 조사 결과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와 같이 운영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와 같은 모호한 원인 지적으로는 대책을 세우기 어렵다"며 "오히려 이번 대책 마련의 결과로 규제가 강화돼 ESS 시장이 다시 침체되지는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시간적 제약이 뚜렷해 ESS의 양적 성장만 이루어진 것이 문제"라며 "해외에서는 국내보다 더 많은 ESS가 더 예전부터 활용되고 있는데 해외에서는 ESS 화재사고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나왔다.
배터리 시장조사기관 SNE 리서치는 글로벌 ESS 시장은 2020년에 약 17조 8500억원, 2025년에 24조 319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dotor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