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록도 한센인 위해 헌신한 마가렛·마리안느의 삶을 바탕
1933년 소록도부터 2019년 서울에 걸친 이야기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우란문화재단(이사장 최기원)이 목소리 프로젝트 2탄으로 음악극 '섬: 1933~2019'(작 장우성, 음악 이선영, 연출 박소영)를 선보인다.
음악극 '섬: 1933~2019' [사진=프로스랩] |
목소리 프로젝트는 말과 글로 남아있는 선한 영향력을 바탕으로 귀감이 될 수 있는 실존인물의 삶을 무대에 복원하고자 결정됐다. 지난해 전태일 열사의 수기와 일기를 바탕으로 청년 태일의 모습을 그린 음악극 '태일'을 선보인 바 있다.
목소리 프로젝트 2탄은 우리가 기억해야할 실존인물의 목소리라는 목소리 프로젝트 개념을 우리가 간직해야 할 '동시대의 목소리'로 확장해 편견과 차별, 그 안에 존재하는 희망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음악극 '섬: 1933~2019'는 각종 문헌과 소록도 주민들의 인터뷰 등을 통해 1966년부터 40여년 간 어떤 편견과 차별 없이 소록도 한센인들을 위해 헌신했던 마리안느와 마가렛의 삶을 중심으로 한다. 1933년 소록도서부터 2019년의 서울까지 독립된 3개의 연대가 교차하며 이야기가 구성된다.
특히 1930년대 소록도로 강제 이주를 당해 긴 세월 억압받았던 한센인들의 이야기와 스스로 세상과 담을 쌓고 장애도라는 섬에 갇혀 살아가는 2019년 서울의 발달장애아동 가족들의 이야기를 함께 그린다.
배우 정운선이 30년대 한센인 '백수선'과 '마가렛'을 연기한다. 배우 백은혜가 '마리안느'와 2019년 발달장애아동을 키우는 엄마 '고지선' 역을 맡는다. 이 외에 배우 권동호, 김대웅, 박란주, 신창주, 이선근, 이아름솔, 이현진, 임규형, 정소리, 차용학 등이 출연한다.
음악극 '섬: 1933~2019'는 7월 5일부터 21일까지 우란문화재단 우란2경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