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은주 기자 = 미중 무역협상 와중에 관세 전쟁이 재점화되면서 중국 위안화 가치가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위안화가치가 심리적 저항선인 달러당 7위안대로 떨어지는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이런 상황에서 상당수 중국 금융 기관들은 7위안대 진입 가능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14일 역외시장에서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은 장중 6.9192위안까지 올라(위안화 가치 하락) 작년 12월 24일 이후 넉 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이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위안화 중간 환율을 전날대비 0.60% 상승한 6.8365위안에 고시했다.
15일에도 인민은행은 달러 대비 위안화 기준환율을 전날보다 0.42% 오른 6.8649위안으로 고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27일 이후 위안화 가치가 최저치로 떨어진 것이다.
대달러 위안화 환율은 미중 무역 전쟁의 긴장감이 한창 고조됐던 작년 11월에도 달러당 7위안 선에 바짝 근접한 바 있다.
이후 12월 1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무역 전쟁 휴전에 합의, 협상국면에 돌입하면서 올해 초 대달러 위안화 환율은 안정적인 모습을 보여왔다.
그러나 최근 막바지에 접어들었던 미중 간 무역협상이 다시 삐꺽이고, 양국이 상대국 제품에 대해 서로 보복 관세를 매기고 나서면서 '노딜 가능성(협상결렬)'까지 나오자 위안화 가치가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무엇보다 최근 중국 자본시장에서 외자 유출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중국 경제 불안 우려도 더욱 커지고 있는 양상이다.
14일 상하이·선전 증시와 홍콩 간의 교차 거래를 통해 외국인은 108억 9900만 위안(약 1조8738억원)의 중국 본토 주식을 팔아치웠다. 상하이·선전 증시와 홍콩 간 교차 거래 이후 두 번째로 큰 금액이며 순 유출 규모가 1백억 위안에 달한 것은 올해 들어 두번째다.
중국 궈진(國金)증권은 미중 무역 전쟁 재격화 외에 △미국 1분기 경제 성장률 예상 밖 호조에 따른 달러 강세와 달러인덱스 강세 △ 미중 간 금리차 축소 전환 등 위안화 약세 원인을 꼽았다.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의 부진으로 경기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음에도, 미국의 1분기 경제 성장률은 시장 예상치인 2.5% 보다 크게 웃돈 3.2%를 기록했다. 이는 1분기 기준으로 4년 만에 최고치이다.
이와 같은 미국 경제의 견조한 성장은 달러와 달러인덱스 강세로 이어져 위안화 약세를 야기했다. 특히 달러인덱스의 경우 3월 최저치인 96.01에서 4월 최고치인 98.18까지 상승했다.
또 미중 간 금리차가 확대에서 축소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 미중 간 금리차는 1월 최저치인 0.3%에서 4월 최고치 0.9%까지 치솟았으나, 최근 들어 0.85%로 축소됐다. 이는 위안화 절하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중국 금융기관및 전문가들은 달러 대비 위안화 환율이 7위안을 돌파할 가능성은 적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장밍(張明) 핑안(平安)증권 수석애널리스트는 “중국 당국의 안정적인 거시 정책에 따라 올 하반기 중국은 안정적인 경제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미국 경제 성장세는 약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이러한 양국 간 경제 펀더멘털의 상대적인 변화에 따라 위안화 환율이 안정세를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장 애널리스트는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 수준에 근접할 경우 중국 인민은행이 나서서 자본 유출 관리 강화, 역주기조절 요소 도입 등 방식을 통해 단기적인 위안화 환율 안정을 도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안화 가치 지속 하락으로 위안화 환율이 달러당 7위안대로 접어들 경우 대규모 자본 유출, 증시 폭락 등이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톈펑(天風)증권은 "위안화 환율 변동성은 미중 무역 협상 과정에서 나타나는 추세적 움직임이라면서 당국이 적절한 방법을 통해 위안화 약세를 막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인민은행 산하 매체인 금융시보(金融時報)는 기관보고서를 인용, "외부 환경 변화가 시장 심리에 큰 영향을 끼치면서 위안화 환율이 단기적 압박을 받을 수 있겠으나, 위안화가 대폭으로 평가 절하되는 현상이 지속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eunjoo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