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韓流中心

속보

더보기

新时代新机遇 新动力新合作② ——推动中韩经贸合作迈上新台阶

기사입력 : 2019년03월12일 10:37

최종수정 : 2019년07월19일 16:29

放眼全球,当今世界正在经历新一轮大发展大变革大调整,新一轮科技和产业革命给人类社会发展带来新的机遇,也提出前所未有的挑战。去年10月召开的中共十九大宣告中国特色社会主义进入了新时代,也掀开了中国同世界交融发展的新画卷。在新时代,中国人民将吸取改革开放40年的经验和教训,继续扩大开放、加强合作,坚定不移奉行互利共赢的开放战略,坚持引进来和走出去并重,实行高水平的贸易和投资自由化便利化政策,探索建设中国特色自由贸易港。中国人民将继续与世界同行、为人类作出更大贡献,坚定支持多边主义,积极参与推动全球治理体系变革,构建新型国际关系,推动构建人类命运共同体。

【中国驻韩国大使馆谷金生公参 图片=中国驻韩国大使馆供图】

▲关于中国当前经济形势

国际社会一直高度关注中国经济,有唱响的,也有唱衰的。有人渲染中美“贸易战”严重冲击中国经济,有人担心中国经济减速将拖累世界经济,还有人声称中国改革开放步伐出现停滞甚至倒退。那么,中国经济形势到底怎么样?中国经济对世界意味着什么?

首先,中国经济中高速增长的势头依然强劲2018年中国GDP总量突破13.6万亿美元,居世界第二;经济增速为6.6%,较往年有所降低,但仍高于6.5%的预定目标,保持在合理区间。2018年中国货物进出口同比增长9.7%,贸易额超过4.5万亿美元,居全球榜首。在中美经贸摩擦持续背景下,2018年中美两国货物贸易额超过6300亿美元,同比增长8.5%,凸显了中美经贸合作的巨大潜力与良好韧性。

其次,中国经济增长的质量不断提升目前中国经济正从高速度增长向高质量发展转型,经济结构进一步优化,消费对经济增长贡献率达76.2%。中国经济发展新动能不断壮大,2018年日均新设企业超过1.8万户,新产业、新产品、新业态、新模式不断涌现,网上零售额增长超过20%。中国经济增长更加绿色,2018年万元人民币GDP能耗比去年下降3.1%,清洁能源消费量占能源消费总量比重比去年提高约1.3%,全国338个地级及以上城市PM2.5浓度下降9.3%。

第三,中国经济增长对世界贡献巨大中国连续多年是世界经济增长最大贡献者,2018年经济增速在世界前五大经济体中仍高居首位,对全球增长贡献率接近30%。“一带一路”倡议成为中国发展惠及各方的公共产品。截至2018年,中国在“一带一路”沿线国家累计投资289亿美元,上交东道国税收20亿美元,为当地创造就业岗位24.4万个。作为坚定支持贸易自由化和经济全球化、主动向世界开放市场的重大举措,中国去年11月在上海去举办世界上第一个以进口为主题的国家级展会——中国国际进口博览会,成果丰硕,惠及各方。今年还将举办第二届,继续让世界分享中国庞大市场机遇,也为各国相互合作搭建公共平台。

【图片=网络】

第四,中国经济未来还将给世界带来更多机遇中国有近14亿人口,中等收入群体已超过4亿。未来随着居民收入不断增加,消费环境不断改善,消费潜力还将进一步释放,中国将为包括来自韩国在内的各国优质产品和服务提供广阔市场和机遇。目前中国正逐步放宽或取消银行、保险、证券、汽车、船舶等行业外资股比限制,为国际社会共享中国经济红利进一步创造有利条件。人们常说,资本会用脚投票。在全球跨境投资大幅下滑背景下,中国去年吸引外资1350亿美元,逆势增长3%,这充分展示了国际社会对中国经济的信心。

但我们清醒地知道,中国还是一个发展中国家,是世界上最大的发展中国家,发展依然任重道远。中国人均国内生产总值排在世界第60多位,只有美国的1/7,韩国的1/3。人类发展指数全球位列90多位。中国还有3000万贫困人口、8000多万残疾人,需要照顾的老年人口超过2亿,每年需要解决就业人口就达1500万。位于中国东部沿海地区的广东省GDP相当于世界排名第十四的西班牙,而西部地区国土面积占全国72%,人口占27%,经济总量仅占20%,对外贸易和投资只占7%。这些数据表明,中国的发展还不充分,人均水平低;中国的发展还不平衡,地区差距大。

此外,中国的发展仍面临不可持续的问题。中国社会生产力总体水平仍不高,生产力结构还不够合理,高投入、高消耗的增长方式尚未得到根本改变。制造业、贸易规模很大,但经济仍“大而不强”。在国际贸易中,中国出口的是廉价“体力劳动”,进口的是高昂“脑力劳动”,服务贸易仍存在巨额逆差。中国的文化建设、科学技术、社会治理现代化水平都有待进一步提升。

我们对前进道路上的困难和挑战有清醒的认识,正如习近平主席指出,中国发展到了“愈进愈难、愈进愈险而又不进则退、非进不可的时候”。中国在发展中遇到的问题都是“成长的烦恼”,只有通过进一步发展来解决。在中国共产党领导下,我们有信心、有能力攻坚克难,开创更加美好的未来。长期看,中国未来经济形势是乐观的,中国愿同世界各国一道共谋发展,在新一轮科技革命和产业变革中创造新的更大成就。

                                                                                              谷金生

                                                                            中国驻韩国大使馆经济商务参赞处

                                                                                           公使衔参赞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