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핵화 논의 확대회담, 美 배석자 폼페이오·볼턴·멀베이니
美 강경파 대변 볼턴, 대북 설득력과 협상력 높이는 포석
김정은 배석자 김영철·리용호, 1차와 달리 리수용 배석 안해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와 미국의 상응조치에 대해 논의하는 확대정상회의에 초강경파로 알려진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석해 주목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28일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서 열린 북미 확대정상회담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존 볼튼 국가안보보좌관, 믹 멀베이니 비서실장 대행 등을 배석시켰다. 반면 김 위원장은 김영철 조선노동당 부위원장과 리용호 외무상을 참석시켜 숫자상으로 균형이 맞지 않는 조합이 됐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 가운데)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베트남 하노이에 있는 메트로폴 호텔에서 진행된 2차 북미 정상회담의 확대회담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는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와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다. 2019.02.28. [사진= 로이터 뉴스핌] |
가장 관심을 끈 부분은 초강경파인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의 존재다. 볼턴 보좌관은 과거부터 대북 매파로 알려진 인사로 전날 있었던 만찬에는 참여하지 않았다.
볼턴 보좌관은 '선 비핵화 후 보상'을 뜻하는 리비아 모델을 강조하고 있는 인사로 북한은 리비아 모델에 대해 받아들이지 않을 뜻을 분명히 하고 있다. 리비아 모델은 카다피 리비아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인 이후 정권과 목숨을 잃어 북한으로서는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는 상황이다.
볼턴 보좌관의 참석은 미국 내 존재하고 있는 대북 강경파들을 설득시키려 하는 의미를 갖는다. 대표적인 대북 강경론자인 볼턴 보좌관을 설득할 수 있다면 미국 내 만연한 북한에 대한 불신을 누그러뜨리는데 상당한 의미가 있다.
여기에 북미 정상의 확대회담에서 영변 핵 시설 폐기 등 비핵화의 실질적인 조치가 논의된다는 점에서 비핵화 협상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존재인 볼턴 보좌관이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다.
![]() |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2018.11.27. [사진=로이터 뉴스핌] |
지난해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때도 구체적인 논의가 이어지는 4+4 확대회담에서는 미국에서 폼페이오 장관과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과 함께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참여한 바 있다. 당시 북한에서는 김영철 부위원장, 리수용 노동당 외교담당 부위원장, 리용호 외무상이 배석했었다.
믹 멀베이니 비서실장 대행은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이지만, 백악관 예산국장 출신으로 외교 전문가가 아니어서 볼턴 보좌관과 폼페이오 국무부장관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합리적인 보수 성향인 폼페이오 장관과 초강경파인 볼턴 보좌관이 배석하면서 미국의 북한에 대한 두 목소리를 대변함과 동시에 균형을 맞추는 역할도 있다.
![]() |
리용호 북한 외무상 [사진=로이터 뉴스핌] |
또 한 명의 관심이 가는 배석자는 리용호 북한 외무상이다. 김영철 부위원장은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함께 그동안 북미 비핵화 협상을 이끌어 온 존재여서 배석이 어색하지 않다. 김 부위원장은 그동안 김 위원장의 주요 정상회담 일정에 거의 빼지 않고 배석해왔다.
1차 북미정상회담에서 리용호 외무상이 노동당 내 외교라인의 책임을 지고 있는 리수용 위원장과 함께 배석한 것과 달리 2차 정상회담에서는 외교라인을 대표해 단독으로 배석한 것은 향후 북한이 미국과의 비핵화 협상에서 공식 라인인 외무성에 보다 많은 역할을 맡길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리 외무상은 비핵화에 전문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비핵화의 구체적인 합의 과정에서 이 전문성을 활용하기 위한 배석일 가능성도 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