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희 의원 "음압구급차 총 30대 있지만, 관리시스템 없어"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보건당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진 환자 A씨(61세) 이송 시 음압구급차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이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음압구급차 소재 파악이 어려워 사용하지 못 했다는 것이다.
12일 국회 보건복지위 소속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현재 전국에 총 30대의 음압구급차가 있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 없어 메르스 의심환자가 발생해도 음압구급차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도별 일반·특수·음압 구급차량 관련 현황. [표=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실] |
쿠웨이트에서 아랍에미리트를 거처 지난 7일 입국한 A씨는 설사 증상이 있어 공항에서 리무진 택시를 타고 삼성서울병원에 내원했다. 삼성서울병원 음압격리실에서 진료를 받은 A씨는 이후 메르스 의심 증상을 보여 일반구급차를 타고 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다.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8일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을 언론에 처음으로 알리면서, A씨가 삼성서울병원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송 시 음압구급차를 탔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지난 10일에는 특수 구급차를 탔다고 정정했고, 지난 12일 최종적으로 A씨가 일반 구급차를 탄 것으로 드러났다.
음압 구급차량은 운전사의 감염을 막기 위해 환자실을 완전 밀폐하고, 환자실 내부 공기 필터링 시스템을 갖춘 차량이다. 특수 구급차는 운전자와 환자 간 공간을 막는 격벽이 없지만, 중환자 등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의학적 장비가 갖춰진 구급차다.
당시 A씨가 탄 구급차는 운전자와 환자 간 공간을 막는 격벽이 있고, 운전자가 보호복을 착용해 감염 위험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삼성서울병원으로부터 메르스 의심 신고를 접수받은 강남 보건소 역시 음압구급차량이 확보된 지자체에 차량 지원을 요청하지 않았다"며 "음압구급차의 소재 파악이 어려운 결과 지원 요청조차 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또 질병관리본부가 음압구급차와 격벽설치 구급차 통계조차 파악하지 못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이 지난 10일 질별관리본부에 시도별 음압구급차 및 격벽설치 구급차 관리 현황 자료를 요청하자, 그제서야 지자체를 통해 격벽시설 응급차량 전수조사를 시작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의원은 "서울에만 해도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소방서가 관리하고 있는 음압구급차가 8대 있었지만, 감염병 관련 의료자원 시스템 부재로 활용하지 못 했다"며 "음압구급차 활용을 위한 시스템 구축 마련과 동시에 장기적으로 음압구급차 확보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k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