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로미오와 줄리엣' 변주한 작품
내달 30일까지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서 공연
[서울=뉴스핌] 황수정 기자 = 금기를 깨는 건 언제나 달콤하다. 일생을 규율에 얽매여 살아온 사람이라면 일탈이 주는 짜릿함은 더욱 강할 터. 연극 '알앤제이' 속 네 명의 학생들이 '로미오와 줄리엣'에 빠져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연극 '알앤제이' 공연 장면 [사진=㈜쇼노트] |
연극 '알앤제이'(연출 김동연)는 가톨릭 학교를 배경으로 네 명의 남학생이 금단의 책 '로미오와 줄리엣'을 읽고 직접 연극을 하면서 펼쳐지는 이야기를 담는 극중극 형태의 작품이다. 대표적인 사랑 이야기 '로미오와 줄리엣'을 남학생들이 표현한다는 점에서 '동성애'가 얼핏 떠오를 수도 있지만, 공연이 끝나는 순간 성별의 구분은 무의미해진다.
"거짓말을 하지 마라. 도둑질을 하지 마라. 자신을 속이지 마라. 누구도 죽이지 마라. 욕망의 노예가 되지 마라."
수업을 받는 태도도, 걸어가는 걸음걸이조차도 각 잡힌 학생들의 모습에서 시작된다. 하지 말라는 것으로 가득 찬 가톨릭 학교에서, 학생들은 밤이 되자마자 '로미오와 줄리엣'을 꺼내 낭독한다. 로미오가 되고, 줄리엣이 되고, 머큐쇼, 티볼트, 유모 등 작품 속 인물이 되던 학생들은 처음에는 마냥 신난 어린아이 같다가, 점차 깊게 빠져든다.
연극 '알앤제이' 공연 장면 [사진=㈜쇼노트] |
무대 위 학생들은 '로미오와 줄리엣' 희곡의 대사만 이어갈 뿐, 그들만의 이야기를 직접 내뱉지 않는다. 그럼에도 그들은 표정으로, 몸짓으로 감정을 폭발적으로 드러낸다. 그저 책 속의 인물에서 자신의 현실이 투영되면서 대사를 내뱉기 피하거나 힘들어하기도 한다. 각자 처한 상황에 따라 작품에 빠져들어 가는 몰입도가 다른데, 이러한 차이가 극에 묘한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가장 많이 빠져드는 건 로미오를 연기하는 '학생1'. 그는 친구들의 만류에도 마지막까지 낭독을 원하는 인물이다. 줄리엣을 비롯해 벤볼리오, 존 수사 등을 연기하는 '학생2'도 꽤 흔들리지만 결국에는 현실로 돌아온다. 극 초반 작은 실수로 체벌을 받았던 학생이 '로미오와 줄리엣'을 낭독하다 싸우는 장면에서 스스로 걷잡을 수 없이 주먹을 휘두르는 장면 등도 의미심장하다.
연극 '알앤제이' 공연 장면 [사진=㈜쇼노트] |
"amo. amas. amat. amamus. amatis. amant.(나는 사랑한다. 너는 사랑한다. 그는 사랑한다. 우리는 사랑한다. 너희는 사랑한다. 그들은 사랑한다)"
금서에 빠져들어 있던 학생들이 현실로 돌아오기 위해 외치는 라틴어. 언제나 외치지만 현실에서는 감히 상상도 못 했던 사랑. 머릿속으로만 그려왔던 그것이 '로미오와 줄리엣'을 통해 진정 사랑이 되고, 자유가 되고, 꿈이 되고, 열정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마지막으로 향해갈수록 달라지는 학생들의 변화는 어찌 보면 당연하다.
무엇보다 '알앤제이'의 매력은 독특한 무대와 붉은 천을 활용한 연출이다. 책상 자체가 무대가 되며, 양쪽으로는 책상이 높게 쌓여있다. 객석 사이에도 책상이 놓여 배우들이 지나다니며, 무대 위에도 객석이 있다. 학생들과 '로미오와 줄리엣'의 경계가 흐릿한 것처럼, 무대와 객석의 경계도 흐릿하다. 배우들이 발을 구를 때마다 무대 위 객석의 관객들의 심장도 함께 뛴다.
연극 '알앤제이' 공연 장면 [사진=㈜쇼노트] |
붉은 천은 매우 상징적인 소품이다. 단순히 줄리엣의 의상이 되기도 하다가 날카로운 검이나 독약이 되고,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을 확인하기도 한다. 어둡고 단조로운 무대 위에서 강렬한 붉은 색은 일탈의 희열을 경험하는 학생들의 강렬한 에너지를 드러내기도 한다.
배우들의 열연도 빼놓을 수 없다. 150분이라는 긴 러닝타임동안 네 명의 배우들은 시종일관 무대를 뛰어다닌다. 현실 대사 하나 없이 희곡을 낭독하는 낯선 설정임에도 배우들의 연기가 위화감을 날려버린다. 극 중 학생들이 '로미오와 줄리엣'에 몰입하듯, 관객들도 단숨에 배우들에 이끌려 작품에 빨려 들어간다. '학생1'은 손승원과 문성일, '학생2'는 윤소호와 강승호, '학생3'은 손유동과 강은일, '학생4'는 송광일과 이강우가 맡는다.
연극 '알앤제이'는 오는 9월30일까지 동국대 이해랑예술극장에서 공연된다.
hsj12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