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737 MAX 도입 검토...이르면 내년 하반기 도입
[뉴스핌=유수진 기자]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가 당분간 현재와 같이 단일기재 운용 방침을 유지해 가격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다만 기재 효율성이 높은 항공기를 도입, 항속거리를 최대 7시간까지 늘리겠다고 했다.
![]() |
이석주 제주항공 대표이사가 2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출입기자단 상견례'를 갖고 "저비용항공사(LCC) 모델에 충실하겠다는 방향을 명확히 갖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유수진 기자> |
이 대표는 29일 오전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출입기자단 상견례'를 갖고 "저비용항공사(LCC) 모델에 충실하겠다는 방향을 명확히 갖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자리에서 이 대표는 "뛰어난 비용효율성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낮은 운임을 제공, 많은 사람들에게 여행의 행복을 제공하는 게 우리의 미션"이라며 "우리가 지금 갖고 있는 기단, 단일 기종 운용 방침을 계속해서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현재 제주항공은 186~189석짜리 소형기 B737-800을 32대 보유, 국제‧국내선 전 노선에 동일한 항공기를 투입하고 있다. 올해 새로 들여오는 항공기 역시 같은 기종으로, 올해 말까지 총 39대를 보유하게 된다.
다만 이 대표는 B737 MAX를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기종은 기존 B737-800과 크기는 같지만 항속거리가 길어 최대 7시간까지 비행이 가능, 그동안 가지 못했던 싱가포르나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역 취항이 가능하다. 동일 기종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관리 비용 없이 취항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 대표는 "현재의 원가경쟁력을 유지하면서 기단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B737 MAX 도입을 진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 MAX를 도입, 이 항공기가 운항할 수 있는 범위까지 노선 네트워크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아직까진 MAX 737 도입과 관련된 내용이 구체화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소형기인 B737-800으로 취항할 수 있는 지역이 일본이나 중국 등 근거리 노선으로 제한되는 것에 대해선, 지방에서 출발하는 국제선 노선을 활성화 시키겠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근거리 노선을 다양화 해 장거리 노선 없이도 성장을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이미 인천과 김해에서 많은 국제선을 취항하고 있다"며 "이젠 다른 도시에서 국제선 취항을 활성화 해 우리가 갖고 있는 운영효율성, 원가경쟁력, 네트워크의 강점을 선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쟁사들이 큰 비행기를 한 번 띄울 때 우린 더 자주 띄워 네트워크 밀도를 높일 것"이라면서 "고객들에게 더 많은 스케줄 선택권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유수진 기자 (uss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