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19년 예산안 편성 지침 확정
에코세대·저출산 등 주요 국정과제 이행
화재 참사 등 사고 예방…예산 460조원 육박
[세종=뉴스핌 한태희 기자] 안전 관리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내년 정부 예산이 집중 투자된다. 특히 각종 화재 등 '예고된 참사'나 '인재(人災)'를 예방하는 분야에 예산이 투입된다. 또 사회적경제 활성화 등 사회적가치를 높이는 사업 예산이 늘어난다.
정부는 26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을 의결·확정했다. 예산안 편성 지침은 정부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이 내년 예산을 짤 때 기준이 된다.
내년 정부 재원 배분의 핵심 분야는 ▲청년 일자리 확충 ▲저출산·고령화 대응 ▲혁신성장 ▲안심사회구현·안보강화 등이다. 청년 일자리와 저출산·고령화, 혁신성장은 문재인정부가 꼽는 주요 국정과제다. 이에 따라 내년에도 이 분야 예산이 늘어날 전망이다.
![]() |
정부는 2019년 취약 시설 관리 및 안전 사고 예방에 국가 예산을 집중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 1월 경남 밀양에 있는 세종병원 화재 모습 <사진=뉴시스> |
눈에 띄는 분야는 안심사회 구현이다. 정부는 취약시설을 정비하고 시설물 관리를 강화하는 등 안전사고 예방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포항 대지진을 포함한 자연재해와 충북 제천의 스포츠센터 화재 참사, 크레인 전복 사고, 밀양 세종병원 화재 등 끊이지 않는 사고로부터 국민을 보호한다는 취지다.
아울러 사회적가치를 높이는 분야에 재정 투자를 확대한다. 사회적 약자 보호, 환경보호, 소득 분배 개선 사업, 사회적경제 활성화 등에 투입하는 예산을 늘린다.
◆ 인구구조 변화 반영한 지출 구조조정…내년 예산 460조원 육박
이와 같이 꼭 필요한 분야에 예산을 투입하기 위해 정부는 양적·질적 지출 구조조정을 한다.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거나 기존 사업 예산을 늘리 때 해당 부처가 허리띠를 졸라매 재원을 마련한다.
예산을 편성할 때 저출산·고령화도 고려한다. 일자리와 복지 등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은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해야 예산을 투입한다는 얘기다.
그밖에 정부는 예산 과목 구조를 개편해 중복 사업을 정리한다. 국민이 사업을 직접 제안하고 정부가 예산을 편성하는 국민참여예산도 확대한다.
![]() |
2019년도 예산안 편성 및 기금운용계획안 작성 지침 <자료=기재부> |
내년 정부 예산은 453조~460조원으로 추정된다. 2017~2021년 국가재정운용 계획상 내년 예산은 올해(약 429억원)보다 5.7% 증가한다. 정부는 저성장 등 구조적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당초 계획보다 재정을 확장적으로 운용할 계획이다.
기재부 구윤철 예산실장은 "내년 국가 총지출은 5.7% 증가하게 돼 있지만 이보다 높게 가져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기재부는 예산 지침을 오는 30일 정부 각 부처에 통보한다. 각 부처는 오는 5월25일까지 예산 요구서를 기획재정부에 내야 한다. 기재부는 이를 토대로 내년도 예산안을 만든 후 오는 9월2일까지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뉴스핌 Newspim] 한태희 기자 (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