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이 핵심
3대 핵심에 국가 역량 집중해야
인체를 알면 4차 산업혁명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는 개인별로 차이가 크다. 혹자는 4차 산업혁명을 '초연결' '초지능'으로 설명하기도 하고, 혹자는 '사이버 물리 세계'로 표현하기도 한다. 사물 인터넷(IoT), 로봇, 드론, 자율 주행차를 4차 산업혁명의 본질로 강조하는 전문가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설명은 4차 산업혁명을 3차 산업혁명의 연장선으로 이해하는 방식이다. 이 관점으로는 4차 산업혁명의 본질을 파악하기 어렵다. 필자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3요소를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보고 있다. 왜 그런지를 인체와 비교해 설명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4차 산업혁명에서 인체의 뇌에 해당하는 부분이 인공지능이다. 인체에서 제일 윗 부분에 위치한 뇌에는 산소와 영양분이 혈액을 통해 공급된다. 바로 인공지능의 혈액에 해당하는 것이 '빅데이터'다. 빅데이터가 없으면 인공지능은 학습하지 못한다. 또, 인체에 피가 온 몸에 돌도록 공급해 주는 기관으로 심장이 있다면, 4차 산업혁명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있다.
아울러 인공지능에 정보를 제공해주는 인체의 감각 기관, 예를 들어 시각, 청각, 후각, 촉각 등이 4차 산업혁명에서는 사물 인터넷의 센서가 된다. 4차 산업혁명에서는 특히 시각 센서인 이미지 센서가 가장 강력한 데이터 발생 장치다. 인체에 팔과 다리가 있다면 4차 산업혁명에는 로봇, 자율주행차, 드론이 있다. 정리해보면 인체에 뇌, 심장, 혈관이 있다면, 4차 산업혁명에서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이 있다.
3대 핵심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이 세가지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뭘까. 혈관을 타고 흐르는 데이터에는 산소와 영양분을 담고 있다. 산소가 끊어지면 수 분 후에 뇌가 정지하고, 인간은 생명을 잃는다. 데이터에 영양 불균형이 일어나면 당뇨병, 고지혈증이 생긴다. 적혈구가 부족하면 생명을 잃는다. 이처럼 4차 산업혁명에는 데이터 양이 충분하고 데이터의 가치와 진실성이 유지돼야 한다. 데이터가 뇌에 제대로 공급되는 라인이 고장나면 뇌혈관이 터져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살아있고 눈동자가 움직이고, 눈을 맞추고 말을 해야 살아 있음을 안다. 뇌가 살아있어야 생명이 있다.
인체, 그리고 4차 산업혁명. |
뇌가 얼마나 중요한지는 응급처치 구급법을 생각해보면 짐작할 수 있다. 응급처치 구급법은 인체의 심장 기능이 정지하거나 호흡이 멎었을 때 사용되기 때문에 심장 기능을 되살리는 처치법으로 생각하지만 실은 그렇지 않다. 구급법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산소가 녹아있는 혈액의 순환을 유지시켜 뇌세포의 손상을 막는 것이다. 인공적으로 뇌에 산소를 공급하려는 노력이 바로 응급처치 구급법이다.
정리해보면 인간의 생명을 유지하는 기관이 뇌, 심장, 혈관이라면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 가는 핵심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이다. 이 세 분야의 기술 개발, 인력 양성, 벤처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 새로운 벤처 산업도 이 세 분야에서 일어날 수밖에 없다. 필자는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가 바로 그 방향으로 일어날 것이라 확신한다. 피가 모자라면 수혈을 받는다. 데이터가 모자라 구글이나 아마존에 종속되지 않도록 하자.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김정호 카이스트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