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대장 김창수'에서 열연을 펼친 배우 조진웅(왼쪽부터), 정진영, 이원태 감독, 배우 정만식, 송승헌 <사진=뉴스핌DB> |
[뉴스핌=장주연 기자] “이건 백범 김구가 아닌 젊은이 김창수의 이야기입니다.”
27일 오후 서울 중구 동대문 메가박스에서는 영화 ‘대장 김창수’ 언론시사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이날 기자간담회에는 메가폰을 잡은 이원태 감독을 비롯해 배우 조진웅, 송승헌이 참석,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눴다.
‘대장 김창수’는 1896년 명성황후 시해범을 죽이고 사형선고를 받은 청년 김창수가 인천 감옥소의 조선인들 사이에서 대장으로 거듭나기까지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 김창수는 백범 김구의 젊은 시절 이름이다.
이원태 감독은 “이 영화를 만들게 된 개인적 계기가 있다. 몇 년 전에 아이와 상해 임시정부를 갔는데 생각보다 너무 작고 초라해서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났다. 근데 제 아이는 어려서 제가 왜 우는지를 모르더라. 그때 아는 게 있어야 감정도 느낀다는 걸 알았다. 그래서 김구 선생님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어서 많은 사람이 봤으면 했다”고 운을 뗐다.
김구를 ‘백범’ 혹은 ‘김구’라고 칭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아마 95%가 김창수가 백범인 걸 모를 거다. 흔히 김구 선생님을 떠올리면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주석, 그리고 당시 했던 독립투쟁이다. 근데 그 순간이 있기까지 어떤 과정을 겪었을까 싶었다”며 “빛나는 순간 말고 그 순간이 있기까지 겪었던 암흑, 고통의 시간, 왜 그런 삶을 살게 됐는지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를 알리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영화 '대장 김창수'에서 김창수를 열연한 배우 조진웅 <사진=뉴스핌DB> |
백범 김구의 또 다른 이름, 김창수는 배우 조진웅이 열연했다. “처음 김구 선생님 이야기할 수 있겠냐고 해서 고사했다”고 털어놓은 조진웅은 “한참 후에 시나리오를 봤는데 다른 이야기더라. 천하고 평범한 사람이 우리나라 초석이 되는 과정의 한 장면을 그리고 있었다.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고 내게도 필요한 의지 같았다”고 밝혔다.
김구를 연기한 소감을 묻자 “많이 어려웠다. 뭘 준비해도 그분의 뜻을 따라가겠느냐”며 “당시 김창수는 이십 대고 난 지금 곱절을 더 먹었다. 그래도 감당이 안됐다. 내가 분명 경험도 많고 무서운 것도 많이 봤을 텐데 그래서 창피했다. 재현하는 내가 이렇게 힘든데 선생님은 어떻게 견뎠지 싶더라. 지금 내가 이 나라에서 떳떳하고 당당하게 배우 짓 할 수 있게 해줘서 감사드리는 마음”이라고 고개를 숙였다.
베일을 벗은 영화에서 김창수 역의 조진웅만큼이나 인상적인 이는 또 있었다. 감옥소장 강형식으로 분한 송승헌. 강형식은 조선인이지만 김창수와 달리 오직 자신의 이익을 쫓는 삶을 택한 인물이다.
강형식으로 첫 악역 연기에 도전한 송승헌은 “굳이 이분법으로 따지자면 제가 해온 역할이 정의롭고 선한 사람 편에 서는 경우가 많았다. 배우로서 다양한 시도, 도전에 대한 갈증이 있던 찰나에 이 작품을 만났다”며 “역할이 악역이라 고민했다기보다 역사를 기반으로 한 영화라서 어떻게 많은 분께 감동과 울림을 줄 수 있을까를 고민했다”고 말했다.
이어 “겉으로 봤을 때는 부드러운 이미지지만, 한순간에 냉정해지고 차가워 보이는 서늘함을 보여주려고 했다”며 “‘쉰들러 리스트’ 독일 장교나 ‘레옹’ 게리 올드만을 참고했다. 많은 분량은 아니지만, 굉장한 임팩트를 주고 싶었다. 또 김창수를 억압할수록 그런 모습이 살 거라고 생각해서 최대한 혹독하게 하려고 했다”고 회상했다.
영화 '대장 김창수' 강형식을 통해 연기 변신을 꾀한 배우 송승헌 <사진=뉴스핌DB> |
픽션과 팩트의 경계에 대해서는 이 감독이 다시 마이크를 잡았다. 그는 “김구 선생님이 감옥 생활을 두 번 하셨다. 김구 선생님이 영화로 다뤄지는 게 오랜만인데 언제, 누가 또 할 수 있을까 했다. 그래서 두 번의 감옥 생활을 작품 안에 넣었으면 했다. 그래서 두 번째 감옥 생활에서 겪은 노역 작업을 넣었다. 또 철도는 상징적인 부분이라 영화에 끌고 왔다. 그 외는 다 사실”이라고 설명했다.
이 감독은 또 “모든 창작자가 역사 소재 영화를 만들 때 많은 두려움을 가진다. 그럼에도 저는 역사를 연구실이나 박물관에 모셔놓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콘텐츠로 만드는 게 역사에 이바지하는 거라 생각한다”며 “이건 김구 선생님이 아닌 김창수라는 젊은이 이야기다. 독립운동 이야기가 아니라 절망 끝에 선 젊은이가 절망을 이겨내는 이야기다. 그렇게 봐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대장 김창수’는 내달 19일 개봉한다.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