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안정·가계부채 둔화, 완화정도 조정 시급성 줄이는 요인"
[뉴스핌=허정인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연 1.25%로 동결하고, 향후 경제성장 개선세와 가계부채를 포함한 대내외 리스크를 지켜보기로 했다.
한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후 14개월 째 동결하고 있다.
![]() |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31일 오전 서울 세종대로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이형석 기자 leehs@ |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정학적 리스크 등 대외여건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어 현 수준에서 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며 동결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통화정책의 방향에 대해 그는 “경기와 물가의 흐름이 지속적인지를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답했다.
“완화 정도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말과 함께 3.0% 성장 가능성을 암시했던 지난달 금통위에 비해 한 걸음 뒤로 물러난 것. 북한 발 지정학적 리스크와 더불어 대내외 불확실성이 수면 위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경기 상방 요인을 보면 글로벌 경기 회복세가 강화되는 모습이고 추경도 집행에 들어갔다. 반면 북한과 관련한 지정학적 리스크가 한층 고조됐다”며 “이러한 리스크는 지금도 진행 중이고 확대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어 방향성을 예단하기 어렵다. 여러 가지 보아야 할 것들이 많다”고 말했다.
다만 대북리스크가 오는 10월 경제성장률 전망치에는 반영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총재는 “대단히 중요한 요인이지만 복잡한 문제이기 때문에 전망수치에 집어넣어서 반영하기는 어렵다”며 “기본적으로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지만 상황 여하에 따라서는 상당히 큰 영향을 미칠만한 대외 리스크가 있다고 봐야 한다”고 답했다. “3%달성이 곤란하다는 단정적 의견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
가계부채에 대해선 장기적으로 안정 노력을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가계부채를 너무 급격하게 줄이면 실물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며 “현재 가계부채는 총량 면에서 매우 높은 수준에 와있기 때문에 완화기조를 장기간 지속하면 금융불균형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부동산정책 효과에 대해선 더 시간을 갖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다음달이면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내놓을 것인데, 이 영향으로 주택시장이 안정되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둔화된다면 통화정책 측면에서 완화정도 조정의 시급성을 다소 줄이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스핌 Newspim] 허정인 기자 (jeon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