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3지구 추가 설정 포함한 ‘생활권계획안’ 발표
도심·동북·서북·서남·동남권 116개 생활권으로 쪼개 관리
[뉴스핌=최주은 기자] 오는 2030년까지 서울 동북권과 서남권을 중심으로 고밀개발을 할 수 있는 상업지역이 늘어난다. 주거와 교육, 문화 등 복합적인 주민 생활이 이뤄지는 53개 생활권역도 추가로 설정했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균형성장을 이끌기 위한 새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발표했다.
계획안에는 지난 2014년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중심이 추가됐다.
신규로 지정한 지구의 약 81%는 상대적으로 개발이 덜 된 동북권(17개소), 서북권(6개소), 서남권(10개소)에 집중됐다. 이를 통해 균형 발전을 유도하겠다는 게 서울시 입장이다.
서울시가 15일 발표한 ‘생활권계획안’에 포함된 5대 생활권역권과 116개 지역생활권 <자료=서울시> |
시는 또 강남·북 간 상업지역 격차 해소를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상업지역 192만㎡를 추가 지정하기로 했다. 이 같은 규모는 현재 서울광장의 145개 규모다.
서울시 상업지역 총 면적은 2527만㎡로 서울 전체 면적의 4.2%에 해당한다. 서울 도심권(809만㎡)과 강남4구가 몰려 있는 동남권(595만㎡)은 상업 지역 총 면적은 1404만㎡로 전체의 절반 수준을 넘는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시 유보물량을 제외한 상업 지역 배분물량(134만㎡)을 상대적으로 낙후·소외됐던 동북권(59만㎡),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 위주로 지정할 계획이다.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한 것이다.
구체적인 상업지역 지정은 향후 자치구에서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해 시에 요청하면 시가 중심지계획·공공기여의 적정성 등을 검토 후 배분물량을 고려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상업 지역 내 개발 활성화를 적극 유도하기 위해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30%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완화하기로 했다. 주거용적률은 400%까지 일괄 허용하기로 했다. 이는 연내 조례 개정을 통해 이뤄질 예정이다.
<자료=서울시> |
여기에 서울시는 서울 전역을 5대 생활권역(도심·동북·서북·서남·동남권)으로 나눈다. 세부적으로 116개 지역단위 생활권(지역)으로 세분화한다. 지역단위로 주민 참여를 기반으로 시민 생활과 지역과제 해결 방안을 담겠다는 목표다.
서울시는 이번 ‘서울시 생활권계획 방안’에 대해 오는 18일까지 전문가·시민 공청회를 시작으로 25개 자치구별 설명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폭넓게 수렴할 예정이다. 이후 시의회 의견청취(6월), 국토교통부 등 관계기관 협의(7월), 도시계획위원회 심의(8월)를 거쳐 10월 중 최종 확정한다는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에 발표한 생활권계획은 서울시민의 일상생활을 종합적으로 담은 삶의 지도이자, 미래 서울을 향해갈 수 있는 미래지도, 새로운 도시계획 모델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최주은 기자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