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포 기억 조절 신경 메커니즘 세계 최초 규명
[뉴스핌=정광연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하 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12월 수상자로 김정훈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미래부와 연구재단은 김 교수가 위험에 대응해 뇌의 반응으로 나타나는 공포행동이 편도체에서 시냅스 가소성으로 인한 공포 기억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이에 대한 반응 및 행동 메커니즘을 세계 최초로 밝힌 것을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편도체는 감정 기억 및 공포 반응을 제어하는 신경핵 집합체로 감정, 동기, 학습과 관련된 정보를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시냅스 가소성은 하나의 신경세포가 다른 신경세포로 신호를 전달할 때 신호의 세기나 전달 효율이 지속적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김정훈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사진=미래창조과학부> |
편도체는 공포에 따른 반응행동과 공포 관련 자극을 학습할때 필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도체 신경회로를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 세포군이 너무 작아 연구가 어렵기 때문에 공포기억을 조절하는 신경 세포군의 역할 및 조절 메커니즘은 미지의 영역으로 남아 있었다.
김 교수는 분자생물학적, 약리학적, 광유전학적 실험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이 공포기억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입증했으며 도파민 수용체와 공포기억의 관련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했다.김 교수는 “이 연구는 공포 기억을 조절하는 억제성 신경망의 메커니즘을 처음으로 규명한 것이다. 공포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시냅스 가소성임을 밝힘으로써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신경정신 질환 치료법 개발의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 의의를 설명했다.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은 과학기술인의 사기 진작과 과학기술 마인드 확산을 위해 우수한 연구개발 성과로 과학기술 발전에 공헌한 연구개발자를 매월 1명씩 선정해 미래부 장관상과 상금 1000만원을 수여하고 있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