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이 시끌벅적하다. 국민들이 무기력하고 우울함에 빠졌다고도 한다. 시끌벅적한 세상에 치유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절실히 든다. 손시린 겨울, 펑펑 쏟아져 내리는 첫눈을 만난다면 우리가 조금은 치유될 수 있을까.
우리 국악은 조상의 얼과 혼을 담고 있다. 희, 노, 애, 락을 선율로 가사로 풀어낸다. 혼자가 아닌 다수가 함께 장단을 주고 받으며 노래에 힘을 싣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서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고 우리내의 삶을 생생히 담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음악적으로 풀어낸 것을 판소리라고 한다. 판소리의 다섯마당은 춘향가, 심청가, 수궁가, 흥보가, 적벽가로 조선시대의 가치관을 담은 이야기가 그것이다. 이전엔 열두마당을 꼽기도 하였으나 예술적으로 좀 더 다듬은 이 다섯 마당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그리고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이야기로 우리를 위로하는 대한민국의 자랑스런 문화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젊은 국악인들은 자신들의 청춘을 그들만의 사설로 풀이하고 기존의 사설을 또 그들만의 이야기로 해석하고 있다.
이토록 마음 시린 겨울이 다가온 적이 있었나 싶은 요즘, 말간 미소로 진솔하게 소리하는 소리꾼 김지윤을 만났다. 순한 두 눈동자는 소리를 시작하자 진지하게 차분히 그 색을 바꿔간다. 소리꾼 김지윤은 국립전통예술중학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중앙대학교 국악대학 음악극과 판소리전공으로 졸업하였다.
“판소리를 하게 된 이유는 아직도 생생히 기억해요. 초등학교 삼학년 때 친구를 만나러 갔어요. 방과 후 수업이 끝날 즈음이었는데 조··용한 복도에 엄청난 목소리의 노래가 쩌렁쩌렁 울리는 거예요. 그 때 조용하던 공간에 울리던 그 목소리를 듣고 그길로 엄마에게 달려가서 시켜달라고 했던 기억이나요. 너무 하고 싶다고, 한참을 졸랐어요.”
인터뷰 동안 학창시절 이야기를 한참이나 풀어가다 입시를 준비하던 때 생각에 눈물을 훔치던 소리꾼 김지윤. 등굣길 엄마가 씻어놓은 김치와 밥을 김에 싸서 먹으며 공부하던 이야기는 꽤나 인상 깊었다. 어찌 보면 흔한 소녀의 등굣길에 우리의 전통이 등에 한짐 짊어져 있을 줄 누가 알았을까.
“ 전통 곡 중에 아름다운 곡들이 정말 많아요. 특히나 흥타령은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은 중모리박자로 되어 있는데 음악의 구조가 슬픈 계면조로 이루어져있어서 굉장히 서정적이고 슬픈 느낌의 선율이에요. 흥타령의 제일 큰 묘미는 바로 가사라고 생각해요. 님을 사모하는 가사, 기다리는 가사 등이요. 살다보면 이런저런 이별을 겪잖아요. 그럴 때 이 흥타령 노래를 부르면 울컥해 눈물이 나곤해요. 흥타령 중 ‘푸른 풀이 우거진 골짜기 내 사랑이 묻혀있네 내님아 내 사랑아 ··· 땅속에 뼈만 묻혀 내가 온줄 모르는구나. 잔을 들어 술부어도 잔을 들지를 아니하네.’ 현대의 쉽게 지나치는 감정들 사실은 그게 쉽게 표현할 감정은 아니라고 생각해요. 쿨하게 가볍게 표현해야 사람들이 덜 피곤해하니까 자신을 숨기는 거 아닐까요. 하지만 우리 전통은 그런 마음을 위로해줄 수 있어요. 제게 소리는 늘 그래왔어요.”
투명한 마음에 깊이 있는 우리 소리가 한겹 두겹 쌓여가는 소리꾼 김지윤. 그녀는 현재 The나린 이라는 실내악팀의 보컬로 활동하고 있다. 잔잔하고 서정적인곡들 위주로 대중에게 마음의 위로를 건네는 소리꾼이다.
찬 바람이 하루가 다르게 매서워지고, 아름드리 단풍은 어느새 바닥에 사뿐히 앉아 쉼터를 찾는다. 이곳이 제 집인지, 저 나무위가 제 집인지 모른 채 세월을 흘려 보낸다. 쓸쓸한 계절 저 너머엔 김지윤 같은 소리꾼이 있기에 우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봄을 기다리고 내일을 희망차게 꿈꾼다. 이게 우리에게 음악이 필요한 이유가 아닐까 한다.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