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에 단기 급락 불가피....트럼프 발언 현실화 한계 짚기도"
[뉴스핌=박민선 우수연 조한송 기자] 미국 공화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새파랗게 질렸다. 예상하지 못한 결과에 국내 증시는 장중 3~4%대 폭락, 변동성 노출에 크게 불안해하는 모습이다.
증시 전문가들은 트럼프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됨에 따라 당장 내달로 예상됐던 미국의 금리인상을 포함해 글로벌 경제시장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했다. 이는 두 후보가 금융과 통화정책 관련 주요 공약에서 큰 차이를 보여왔기 때문인데, 특히 트럼프 후보는 투자 활성화 차원에서 저금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해왔다.
시장 관계자들은 단기적인 약세 흐름은 불가피하고 전반적인 충격이 이어질 수 있다며 특히 정유업종이나 인프라 투자 관련주, 수출 관련주들에 대한 집중 관찰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 |
국내증시가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미국 대선 당선 가능성이 높아지며 일제히 급락세를 보이고 있다. 9일 오후 2시 50분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은 각각 2.7% - 4.1% 대의 하락을 보이고 있다. <사진=이형석 사진기자> |
허필석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대표는 지수 회복에 일정 기간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하면서 업종별로는 정유업종 등 석유나 석탄 관련주, 인프라 투자 관련주 등이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전망했다.
허 대표는 "트럼프가 이민정책 외에는 특색있는 공약을 내놓지 못했기 때문에, 각 분야에서 어떤 정책을 들고 나올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시장에 반영되는 것 같다"며 "참모진들이 구성되고 내놓는 정책을 확인할 때까지 빠른 시일내에 반등은 쉽지 않을 듯하다"고 말했다.
박기현 유안타증권 리서치센터장도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현상이 당분간 유지될 것이란 측면에서 관련 투자에 관심을 제안했다. 박 센터장은 "상장지수펀드(ETF)를 포함한 금관련주들은 양호한 수준을 보일 수 있고 트럼프 후보가 인프라관련 재정지출을 확대하겠다는 입장임을 고려한다면 건설 기계 업종도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특히 보호무역주의에 대해 강조해온 만큼 이에 대한 시장 우려는 상당히 큰 분위기다. 아시아 증시를 포함해 글로벌 증시가 크게 흔들리는 것 역시 이 같은 불안감이 작용한 탓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확정된다고 해도 현실적으로는 기존 발언을 시행하는 데 한계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자산운용사 대표는 "트럼프가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왔는데 이는 수십년간 이어져왔던 글로벌 질서와 관행을 역행하는 얘기"라며 "수출주들을 중심으로 당장 긴장하는 분위기가 나타날 수 있지만 트럼프가 됐다고 해서 미국인들이 먹던 것, 입던 것들을 다 바꿀 순 없는 문제다. 정치 이벤트로서의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성영 현대증권 수석연구원도 "트럼프가 중국을 견제하게 되면 국내 수출에도 부담이 될 것"이라면서도 "그간 했던 말들이 정책적으로 실현될지에 대한 의구심이 많다"고 말해 현실화될 가능성을 높지 않게 봤다.
[뉴스핌 Newspim] 박민선 우수연 조한송 기자 (pms071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