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ESS 설비 규모 최소 14.5기가와트
시장 우위 확보 위한 주요 기업 행보 눈길
'전력 시스템 개혁'은 여전한 숙제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8일 오후 4시5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황세원 기자] 최근 중국 유력 경제 매체 재경(財經)은 “수요, 기술 혁신, 정부 지원 등 ‘3박자’가 갖춰지면서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고성장기가 예상보다 빨리 다가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더불어 시장 선점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주요 기업들의 발 빠른 행보를 조망해 투자자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 중국 ESS 시장 고성장기 임박
재경(財經)에 따르면 2015년 중국 ESS 시장 규모는 105.5메가와트로 아직은 초기 발전 단계에 머물러 있다. 하지만 중국이 에너지 분야를 중시하고 대대적 육성 정책 확대를 예고하고 있는 만큼 가파른 성장세가 기대된다는 게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실제 중국 당국은 13.5규획 기간 내 에너지저장장치(ESS)를 국가급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국국가에너지국(國家能源局)과 신재생에너지국(可再生能源司)의 지도 하에 중국화학(中國化學)과 물리전원산업협회(物理電源行業協會)가 주체가 되어 에너지저장장치(ESS) 육성 정책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이다.
장징(張靜) 중국 중관춘ESS기술연맹 사무국장은 재경(財經)과의 인터뷰를 통해 “중국 ESS 시장이 성장하기 위한 기초 체력은 갖춰졌다. 적정 수준의 정부 지원책이 더해진다면 중국 ESS 설비 규모는 2020년 최소 14.5기가와트 이상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 시장 우위 선점 위한 주요 기업 행보 눈길
중국 ESS 시장의 고성장기 진입이 임박하면서 선점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중국 주요 업체들의 발걸음도 빨라지기 시작했다.
가장 눈에 띄는 기업은 양광전원(陽光電源, 300274.SZ)이다. 양광전원은 중국 최대 태양광인버터 생산업체이자 ESS 시스템 통합업체이다. 최근에는 글로벌 전자재료 및 전지 제조 업체와 협력을 확대하며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양광전원의 주요 협력 파트너는 삼성 SDI다. 2014년 양광전원은 삼성SDI와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하고 삼성양광ESS(三星陽光儲能電池)와 양광삼성ESS(陽光三星儲能電源)을 설립했다. 주력 사업은 배터리 팩 및 전력용 ESS 제품 생산으로 삼성 SDI와 양광전원이 각각 지분 65%, 35%를 보유하고 있다. 총 투자액은 2억 6000만위안(약 450억원), 자기자본은 1억3000만위안(약225억원)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삼성양광ESS의 생산능력이 2016년 말 100MWH까지 확대되는 데 이어 2017년에는 500MWH 이상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또 다른 합작사인 양광삼성ESS는 변전기, 전력 통합 시스템 등 전력설비용 부품을 제조하고 제품을 납품하며 중국 전력 장비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고 있다. 양광삼성ESS의 지분은 양광전원과 삼성 SDI이 각각 65%, 35%를 보유하고 있다.
과육전자(科陸電子, 002121.SZ)는 변전기 제조 및 전지관리시스템 서비스 제공 회사로 역시 한국 업체인 LG화학과의 협력 확대를 통해 산업 기반을 다지고 있다. 최근 과육전자와 LG 전자는 각각 지분 70%, 30%를 출자해 ESS 전지팩 제조업체를 설립하는데 합의했다. 해당 합작사는 2017년부터 대규모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다. 이 밖에도 과육전자는 친환경자동차 운영, 충전소 구축 등 친환경자동차 관련 시장에 적극 진출하며 전방위적인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 '전력 시장 개혁'은 여전한 과제
기업들의 발빠른 행보와는 달리 중국 전력 시장의 개혁 추진은 지지부진해 업계 발전의 주요 장애물로 지적되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는 과잉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전력이 부족할 때 송전해 주는 저장장치로 ‘전력 효율성 제고’에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지금처럼 전력 가격이 시장 수급 현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면 ESS 활용의 초기 목적도 상실할 수 밖에 없다는게 업계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장징 중관춘ESS기술연맹 사무국장은 “최근 몇 년간 중국 정부는 전력 시장 개혁을 위한 일련의 조치를 취했다. 하지만 진행 상황으로 볼 때 개혁 속도에 조금 더 박차를 가할 필요가 있다”며 “에너지 시장 성장 수요에 비해 개혁 속도가 따라와 주지 못한다면 중국 ESS 시장 발전은 더딜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원 기자 (mshwangsw@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