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귀맞는' 증권사·외국기업·거래소…中 집중 한계도
[편집자] 이 기사는 07월 05일 오후 05시05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보람 기자] 지난 2007년부터 9년간 국내 주식시장에 상장한 외국기업은 총 22곳. 이 중 살아남은 곳은 13곳이다. 일년에 평균 1~2개 외국기업이 입성한 셈이다. 이러던 것이 올해 들어 확 달라졌다. 지난 1월 국내에 상장한 크리스탈신소재를 시작으로 LS전선아시아 등 올해 들어 8개 외국기업이 국내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이다. 외국기업 상장의 '봇물이 터졌다'고 말할 만하다.
증권가에선 이를 두고 3박자 논리를 든다. 높은 수수료를 통해 수익 확보를 추구하는 증권사, 빠른 상장을 통한 자금조달 니즈가 큰 외국기업,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추진중인 한국거래소. 3개 플레이어의 아귀가 제대로 맞아 떨어진 결과라는 분석이다.
◆증권사 "수수료 '짭짤'하네"…거래소도 '글로벌 경쟁력 강화' 차원서 독려
작년말 기준으로 국내 증시에 상장된 외국기업은 모두 13곳. 하지만 올해만 벌써 크리스탈신소재, 로스웰인터내셔널이 상장했다. 또 6개 회사가 현재 상장을 준비 중에 있다.
이처럼 해외기업 상장이 올해 본격 추진되는 이유 중 하나는 증권사들의 수익원 다각화 일환이다. 외국기업의 국내 상장시 챙길 수 있는 수수료가 높은만큼 수익성 악화로 골머리를 앓는 증권사로선 새로운 먹거리 중 하나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신한금융투자가 지난 달 상장한 로스웰인터내셔널의 IPO 주관을 통해 챙긴 수수료는 48억원. 전체 공모금액 960억원의 5% 수준이다. 보통 국내 기업들이 상장할 때 공모금액의 1%를 상장수수료로 지불하는 것에 비해 훨씬 높다.
때문에 증권사들의 외국기업 상장 주관사 수주 경쟁도 치열하다. 현재 신한금융투자를 포함해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유안타증권 등 상당수 증권사들이 외국기업과 상장 주관사계약을 체결했다.
저렴한 상장비용도 외국기업의 한국증시 입성에 이유가 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시가총액 1000억원 기준 IPO 비용은 10억원 내외지만 나스닥의 경우 최소 60억원이 필요하다. 특히 중국 기업의 한국 증시 러브콜은 두드러진다. 실제 올해 우리나라에 상장했거나 상장을 추진하고 있는 8개 기업 가운데 6곳이 중국 기업이다.
상장절차의 간소화도 또 하나의 유인책이다. 현재 중국은 IPO를 통한 자금조달 수요는 많지만 시장 제도나 여건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 상장까지 걸리는 기간을 가늠할 수 없을 만큼 수많은 기업이 상장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크리스탈신소재와 로스웰의 상장 주관을 맡은 이기일 신금투 IPO부장은 "지금까지 해외에 상장한 중국 기업수는 코스피 상장사 개수와 맞먹는 800여곳"이라며 "글로벌 IPO시장에서 중국이 최대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거래소 역시 국내 증시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취지에서 외국기업의 국내 상장을 독려하고 있다. 상장유치부서 등은 매년 5회 가량 미주지역, 홍콩·싱가폴 등으로 직접 해외 마케팅을 펼친다. 거래소는 이 자리에서 현지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국 증시 상장 이점과 상장 절차 및 규정 등을 쉼없이 피력해왔다.
최근에는 상장규정 개정을 통해 국내 증시에 상장할 수 있는 기업의 국적 범위 제한을 없애는 등 제도 정비도 마쳤다.
◆中 쏠림 현상 한계로 지적…시장 신뢰도 문제 '우려'
<자료=한국거래소> |
하지만 우리나라 증시를 두드리는 기업 국적이 중국에 집중돼 있다는 점은 한계요인으로 지적된다. 과거 중국고섬 사태와 최근 중국원양자원 등을 통한 '악몽'이 아직 지워지지 않고 있다.
지난 2011년 회계부정으로 상장 두 달 만에 거래가 정지된 이른바 중국 고섬 사태 이후 금융당국은 부랴부랴 외국기업 상장 규정을 손봤다. 회계투명성 제고를 위해 외부감사인의 검토의견 제출을 국내 기업과 동일하게 의무화하고 상장주선인 최소투자비율 제도를 마련하는 등의 제도가 개선됐다.
아울러 거래소도 외국기업의 상장 심사시 필요한 경우 심사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고 심사 항목도 구체화했다.
그럼에도 '차이나 디스카운트'의 가장 핵심적인 이유인 정보의 정확성과 투명성에는 여전히 의문이 남는다. 제도적으로 외국 국적의 기업을 규제할 근거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자본시장실장은 "중국 기업은 공시와 관련해 우리 금융당국이 아닌 중국 정부의 규제를 받고 있다"며 "이는 투자자의 기업정보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구조적인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 때문에 중국 기업을 '모셔' 오는 상장 주선인은 물론, 기관투자자까지 업계에서 중국기업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베트남 LS전선아시아와 미국 두산밥캣 등의 상장 주관을 맡고 있는 유명환 한국투자증권 이사는 "아직까지 중국 기업의 상장 주관은 준비하고 있지 않다"며 "해외기업 상장 주선은 안정적인 국내 대기업 관계사 위주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국내 증시에서 중국 기업의 신뢰도는 여전히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상장한 로스웰인터내셔널의 1일 기준 주가수익배율(PER)은 6.46배로 동일업종 평균 PER 10.22배보다 다소 낮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