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극비수사’에서 호흡을 맞춘 배우 유해진(왼쪽)과 김윤석 <사진=쇼박스㈜미디어플렉스> |
가족들은 당장 공길용을 찾아가 이번 사건의 담당자가 돼 달라고 요구한다. 지옥 같은 나날을 보내는 부모의 고통을 차마 외면하지 못한 공길용은 유괴 사건을 맡기로 한다. 그리고 보름째, 김중산의 말대로 범인에게 연락이 온다. 범인이 보낸 단서로 아이가 살아있음을 확신한 공길용은 그날 이후 김중산을 조금씩 신뢰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두 사람은 모두가 범인 찾기에만 혈안이 된 상황 속에도 오직 아이를 살리기 위한 수사를 계속 진행한다.
영화 ‘극비수사’는 지난 1978년 부산에서 일어난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수사물이다. 하지만 영화는 두 가지 지점에서 그간의 수사물과 궤도를 달리한다. 먼저 피부로 느껴지는 가장 큰 차이는 유혈이 낭자하거나 자극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차이점은 결과가 아닌 과정,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특정 사건이 아닌 수십 년 동안 기록 뒤에 감춰진 두 남자의 이야기에 초점을 맞췄다는 데 있다.
더욱이 결과가 아닌 과정과 인물에 집중했다는 점은 실화의 단점을 장점으로 만드는 역할도 했다. 사실 실화를 소재로 하는 작품들이 모두 그렇듯 ‘극비수사’ 역시 결말을 공개하고 가는 위험 부담을 안고 있다. 쫄깃한 긴박감과 극적 재미가 감소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실화 영화 제작을 즐기는 곽경택 감독이 이를 모를 리 없다. 그는 수사물 특유의 긴박함을 놓는 대신 세상을 향한 따뜻한 시선을 선택, ‘극비수사’ 만의 길을 명확히 해 극의 몰입도를 높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보여지는 공길용과 김중산이 세상을 대하는 태도와 자세는 관객에게 깊은 울림을 준다. 아이를 위해 정성으로 기도하는 김중산의 진심과 “당신 자식이라도 그럴거요”라고 소리치는 공길용 형사의 마음은 보는 이들의 심리를 정확하게 겨냥한다.
반면 이들과 대조되는 사람들(예를 들면 자신의 실적과 공치사에만 온 신경이 쏠린 부산 경찰들이나 어떻게든 위험 요소는 피해 가는 서울 경찰들)을 통해 부조리한 인간의 전형을 빚어냈다는 점도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동시에 이는 변하지 않은 우리 사회의 현주소를 부각하며 어두운 이면을 꼬집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동시에 씁쓸하다.
영화 ‘극비수사’에서 공길용 형사를 열연한 배우 김윤석 <사진=쇼박스㈜미디어플렉스> |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