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CPI)보다 통계적 일관성 높아"
[뉴스핌=김남현 기자]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유가급락 등을 이유로 2년5개월연속 0%에서 1%대 성장을 지속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런 와중에 우리 경제의 물가수준에 대한 좀 더 명확한 판단 근거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위원으로부터 제기됐다.
한은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10~12월) 현재 PCE 디플레이터가 전년동기대비 0.8% 상승에 그쳤다. 이는 직전해인 2013년 4분기 0.7% 상승 이후 1년만에 최저치다. PCE지수는 지난해 1분기 1.1%, 2분기 1.4%로 상승하는가 싶더니 3분기 0.9%를 기록하며 하락전환한 바 있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최근 공개된 지난달 금통위 의사록에서 한 금통위원은 “효율적인 통화정책의 준거로서 소비자물가의 적합성을 점검하고, 통계적 일관성이 높은 민간소비지출 가격지수(PCEPI) 등을 참고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게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PCE는 민간소비지출 디플레이터라고도 쓰여지는 것으로 미국 연준이 기준으로 삼는 물가지수이기도 하다.
<자료=한국은행, 통계청> |
CPI도 올 1분기(1~3월) 현재 전년동기대비 0.6% 상승을 기록하며 1993년 3분기 0.7% 이후 15년6개월만에 최저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전년동기대비 1.0% 상승에 그쳤다.
PCE는 CPI보다 낮은게 통상이다. 실제로 2003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기준으로 보면 PCE가 높았던 때는 단 네 번으로 2008년 4분기와 2009년 3분기, 2012년 1분기와 2분기 뿐이었다.
이와 관련해 한은의 한 관계자는 “통상 PCE 등 디플레이터 지표들이 CPI보다 낮다. 예를 들어 PCE 지수는 사과값이 오르면 대신 배를 소비하는 것을 반영하기 때문에 사과값 상승 효과를 덜 반영하는 반면, CPI 지수는 애초 가중치대로 사과값 상승을 반영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PCE가 이런 장점이 있는 반면 CPI도 명확성면에서 장점이 있다. 두 지표 모두 장단점이 있다”고 덧붙였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도 “물가 지표로는 통상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 GDP디플레이터가 있다. 생산자물가는 해외 원자재나 유가등 비용측면의 가격이 많이 반영되고 소비자물가는 가계소비를 비중에 따라 가격지수에 반영한다”며 “GDP디플레이터는 이들 두 개 내지 전체를 대표하는 지표로 이들 값의 중간에 위치하는 게 보통이다. 최근 CPI만 보지 말고 경제전체 물가수준인 디플레이터를 보자는 논의가 있어왔다”고 말했다.
그는 또 “PCE를 주목한 금통위원의 경우 GDP디플레이터 중 민간에 특정해 보자는 의미로 보인다”며 “담배값 인상의 경우 CPI에 반영되는 만큼 PCE에는 반영되지 않는다. 이 금통위원은 디플레이션을 더 우려하면서 물가지표를 더 정확히 보자는 뜻 같다”고 평했다.
[뉴스핌 Newspim] 김남현 기자 (kimnh21c@newspim.com)
[뉴스핌 Newspim] 김남현 기자 (kimnh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