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을 통해 기억을 공유하는 조너스(왼쪽)와 기억전달자 [사진=(주)풍경소리] |
‘커뮤니티’에는 고통도 전쟁도 가난도 질병도 없다. 원로들의 통제 하에 모든 위험요소들이 사라졌기에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각자 삶을 묵묵히 살아갈 뿐이다. 흑백 톤의 커뮤니티 속에서 이어지는 하루하루. 하지만 조너스(브렌튼 스웨이츠)는 언제부턴가 단조로운 세상이 달리 보이기 시작한다. 친구 피오나(오데야 러쉬)의 머리카락이 빨간색으로 보이는 조너스. 과연 그는 남들과 다른 운명을 타고난 걸까.
전형적인 디스토피아 영화 ‘더 기버:기억전달자’는 어떤 감각도 허락되지 않는 미래 도시 ‘커뮤니티’가 감춘 엄청난 진실을 다룬 작품이다.
통제 속에 억압됐던 감정이 해방되면서 사랑을 느끼는 주인공 조너스(왼쪽)와 피오나 [사진=(주)풍경소리] |
영화 ‘더 기버:기억전달자’는 흑백 톤으로 문을 열며 모든 감각이 배제된 미래세계를 효과적으로 묘사한다. 남들과 다른 감각을 가졌던 조너스가 직위수여식에서 기억보유자로 임명되고, 기억전달자(제프 브리지스)와 훈련에 임하면서 접하는 엄청난 진실이 극의 템포를 빠르게 바꿔간다.
이 영화는 조너스가 진실과 마주하면서 ‘커뮤니티’가 맞을 커다란 변화를 암시하며 흥미를 더한다. 특히 기억전달자와 수석 원로(메릴 스트립) 사이에 벌어지는 갈등과 대립을 통해 긴장감을 유지한다. 메릴 스트립과 제프 브리지스는 아카데미가 인정한 배우인 만큼 짧지만 묵직한 연기대결을 보여준다.
눈썰미가 있는 관객이라면, ‘더 기버:기억전달자’를 보며 ‘가타카’(1997)와 ‘이퀄리브리엄’(2002), 그리고 오토모 카츠히로의 애니메이션 ‘프리덤’(2006~2008)을 떠올렸을 법하다. 네 작품은 진실을 숨긴 통제사회, 강제로 주입하는 약물, 열등한 인간은 배제하는 사회시스템 등 몇 가지 공통점을 공유한다.
때문이 혹자는 ‘더 기버:기억전달자’의 이야기가 식상하다 투덜대겠지만, 이 영화는 1993년 21가지 언어로 번역되며 1100만부 이상 팔려나간 동명 소설이 원작이다. 오히려 나중에 나온 작품들이 ‘더 기버:기억전달자’로부터 아이디어를 차용한 셈이다. 20일 개봉
[뉴스핌 Newspim] 김세혁 기자 (starzoob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