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3사 , 고수익 펀딩 상품 들러싸고 2R 격돌
[편집자주] 이 기사는 7월 9일 오전 11시 21분에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강소영 기자] 지난해 중국 자본시장과 IT업계를 뜨겁게 달궜던 인터넷 금융(온라인 금융상품을 통한 재테크) '대전(大戰)'이 올해는 크라우드 펀딩 분야로 확대될 조짐이다. 중국의 크라우드 펀딩 활성화는 자본시장, IT업계를 넘어 문화산업 발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국 사회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은 인터넷을 활용해 일정 기간에 정해진 금액을 불특정 다수에게서 소액 투자를 받는 자금 조달 방식으로, 최근 새로운 투자기법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 |
[그래픽=송유미 미술기자] |
지난해 알리바바가 출시한 온라인 MMF(머니마켓펀드) 상품인 위어바오(餘額寶)가 공전의 히트를 기록한 후 텐세트 등 경쟁업체들이 앞다퉈 유사 상품을 출시하면서 중국에서 인터넷 금융이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인터넷 금융 시장 진출 시기를 놓쳤던 징둥상청이 이번에는 크라우드 펀딩 분야에서 경쟁업체보다 발 빠른 움직임을 보인 것이다.
스마트 가전제조 기업에 투자하는 징둥상청의 첫 번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는 출시와 함께 투자자가 몰리면서 순식간에 목표액을 달성했다. 징둥상청의 크라우드 펀딩이 기대 이상의 효과를 거두자 IT 투자업계의 이목이 크라우드 펀딩 시장으로 집중되고 있다.
중국 최대의 검색엔진 바이두(百度)도 크라우드 펀딩 서비스에 돌립했다. 바이두는 4월 28일 크라우드 펀딩 코너를 마련하고, 현재 시스템을 구축 중이다.
이보다 앞선 3월 알리바바도 크라우드 펀딩과 유사한 '위러바오(娛樂寶)'를 출시했다. 위어바오의 후속 상품인 위러바오는 모인 투자금을 영화제작 등에 투자한다. 위러바오는 고정 금리 7%에 추가 수익이 발행하면 투자자에게 수익분을 추가해주고, 투자자에게 영화제작 현장 탐방과 팬 미팅 참여 기회 등까지 제공하면서 젊은 '재테크 족'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위러바오가 올해 3월 1차로 판매한 상품은 투자자 30만명을 끌어모아 7200만 위안의 투자금을 유치했다. 이 자금은 영화 4편의 제작에 투입됐다. 6월 13일 출시한 위러바오 2기 상품도 하루만에 9200만 위안을 유치, 5편의 영화제작에 투자할 예정이다.
크라우드 펀딩이 인기를 끌면서 중국에서는 관련 업체가 우후죽순으로 들어서고 있다. 정확한 통계 수치는 집계되지 않았지만, 관련 업계는 약 100여 객의 크라우드 펀딩 업체가 영업 중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중국 사모투자 시장 연구기관 칭커(淸科)연구센터의 자료에 따르면, 5월 중국에서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모집된 자금은 2053억 6700만 위안(약 33조 5000억 원)에 달한다. 이중 지분투자형과 현물보상형이 각각 1112억 위안과 940억 6000만 위안으로 전체의 54.15%와 45.85%를 차지했다.
징둥상청과 바이두 등 대기업이 막대한 가입자와 인지도가 높은 플랫폼을 기반으로 본격적인 크라우드 펀딩 영업에 나서면 시장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중국의 IT 공룡이 크라우드 펀딩 시장에 흥미를 느끼게 된 것은 중국의 재테크 시장 환경 변화, 문화 산업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 위어바오를 계기로 온라인을 통한 재테크 기법이 젊은 계층의 인기 투자방식으로 자리를 잡았고, 중국의 문화소비 욕구 확대와 함께 문화산업이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크라우드 펀딩은 이 두 현상을 유기적으로 결합한 투자 경로가 되고 있는 현상을 주목한 것이다.
지난해부터 중국에선 국산 영화,애니메이션이 큰 인기를 끌면서 문화산업이 유례없는 호황을 맞고 있다. 작품 제작 열기도 어느 때보다 뜨겁다. 작품 제작에 필요한 투자금 유치에 크라우드 펀딩이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의 투자자들은 대부분 소액 자본의 젊은 계층이다. 문화 상품에 대한 소비욕구가 강한 이들은 재테크는 물론 소규모 자본으로 영화나 드라마 제작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크라우드 펀딩에 매우 호의적이다. 소규모 자본으로 투자하기 때문에 만일의 손실에도 부담이 적다는 점도 젊은층의 투자 의욕을 키우는 동기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 IT 대기업의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도 대부분 문화 산업에 투자를 집중할 계획이다. 징둥상청의 12개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 중 5개도 대중 문화 사업 분야와 관련이 있다. 알리바바도 시범상품인 위러바오의 성공을 기초로 앞으로 문화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중국 감독 당국도 크라우드 펀딩 시장 확대에 따라 관리 제도 마련에 착수했다. 증권감독관리위원회는 6월 중순 중국의 지분투자형 크라우드 펀딩 업체를 대상으로 시장 조사에 착수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분투자형 크라우드 펀딩에 대한 법률과 시행세칙이 연내에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강소영 기자 (js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