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중국과의 핵전쟁 가능성 염두
[뉴스핌=김동호 기자] 미국 핵잠수함 정찰 활동의 60% 이상이 한반도 인근 해역과 태평양 지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 및 중국 등과의 핵전쟁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한 조치로 풀이된다.
다만 최근에는 러시아와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뉴스타트·New START) 등에 따라 전반적인 핵전력과 잠수함 정찰활동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영 언론에 공개된 중국 핵잠수함, 출처: AP/뉴시스] |
이 보고서는 이들 잠수함이 한 척당 한 해 평균 2.5차례의 정찰 작전에 투입되며, 회당 작전 일수는 평균 70일 수준이지만 일부 작전은 100일 이상 걸리기도 한다고 전했다. 또한 정찰 작전의 60% 이상이 태평양에서 이뤄지며, 이는 중국과 북한, 동러시아를 상대로 한 핵전쟁 계획을 위한 것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특히 실전용으로 분류된 12척의 잠수함 가운데 항상 최소 8∼9척은 작전 해역에 배치돼 있는 상태며, 이들 가운데 4∼5척은 전략전 계획에 따라 특정 목표물을 즉각 타격할 수 있는 해역에서 '초비상'(hard alert)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이들은 강조했다.
하지만 크리스텐슨 박사 등은 최근 미군 핵전략잠수함의 핵억지 정찰이 계속 줄어들고 있으며, 러시아와의 뉴스타트 합의에 따라 잠수함 전력도 축소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1999년 한해 64차례에 달했던 잠수함의 핵억지 정찰활동이 최근에는 28회로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뉴스타트에 따라 핵전략잠수함 발사관, 핵폭격기 보유대수 등을 줄이고 있으나, 동시에 모든 핵무기 시스템에 대한 개량을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김동호 기자 (good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