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력의 정치, 직접민주주의 요소 강화, 특권 폐지
[뉴스핌=노희준 기자]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는 17일 단일화의 전제조건이기도 한 정치쇄신을 두고 협력의 정치, 직접민주주의 요소 강화, 특권 폐지 등 3대 과제를 제시했다. 과제별로는 국회의원의 자율성 보장, 정당 공천권의 국민 행사, 대통령 권력 축소·국회의원의 특권 폐지 등을 언급했다.
![]() |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가 17일 오후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세종대 총학생회 주최로 열린 초청 강연회에서 '새로운 변화, 새로운 미래'란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안 후보는 이날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 대양홀에서 열린 세종대 초청 강연을 통해 "새 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정치가 달라져야 한다고 했다"면서 "3가지 정도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안 후보는 우선 '협력의 정치'를 정치쇄신의 과제로 내걸었다. 대통령은 국회를 존중하고, 정당은 의원 개인의 의사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대통령을 두고는 "대통령부터 국회의원 한 사람 한 사람과 소통하는 모습이 전개돼야 한다"면서 "대통령이 절대 권력자라고 생각지 말고 스스로 변화하며 제도를 존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회를 향해서는 "국회의원의 양심에 따른 표결을 권장하지만, 소속 의원들에게 당론에 따라 표결하라고 돼 있다 보니 의원 자율권을 침해한다"면서 "국회의원 한 분 한 분을 보면 능력 있는 분들인데 돌격대, 거수기가 된다"고 언급했다. 또한 "국회의원들은 당의 명령에 따르라고 뽑은 것이 아니다"며 "이런 비민주 관행이 바뀌어야 정치가 바뀔 수 있다"고 했다.
직접민주주의 요소 강화 내용인 정당 공천권의 국민 행사와 관련해선 "대의 민주주의가 점점 국민의 의사와 동떨어져 많은 이들이 절망하는 것 같다. 지금부터라도 직접 민주주의 요소를 넣어야 한다"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 정당의 공천권 같다. 국민이 공천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권 폐지에 대해선 "4.11 총선 직후 양당에서 국민에게 제일 처음 한 약속이 스스로 특권 내려놓겠다는 것이었는데 어느 순간 이야기가 들어갔다"면서 "대통령도 권력을 줄이고 특권을 내려놓고, 국회 정당도 특권을 내려놓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