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곽도흔 기자] 정부는 높은 수준의 물가상승이 지속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물가안정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내수기반 확충과 동반성장 조성 여건을 통해 경제의 고용창출력을 높이고 지속성장기반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전망됐다.
5일 기획재정부는 7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7월호를 통해 “취업자 증가와 고용률 등 고용시장이 개선되고 광공업생산과 소매판매 등이 늘면서 경기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가공식품과 외식비를 중심으로 물가상승률이 확대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경제에 대해서는 “중국 등 개도국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으나 미국 등의 경제지표 둔화로 경기회복 둔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소매판매는 고용회복 등에 따른 소비여력 증대 등을 감안할 때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다만 속보지표 동향, 장마,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 등을 감안할 경우 6월 소매판매 증가폭은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기획재정부는 “민간소비는 국제유가의 안정세, 유럽 재정위기 우려 완화 등으로 글로벌 불확실성이 다소 완화됐으나 여전히 불안요인으로 남아있어 향후 재부각시 소비심리 악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설비투자는 대내외 경제여건 개선, 기업심리 안정, 양호한 선행지표 흐름 등을 감안할 때 증가세를 전망했지만 여전한 대외불확실성은 제약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이와함께 건설투자는 당분간 부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재정부는 “다만 건설기업 심리가 점차 개선되고 있고 주택시장도 지방을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어 향후 추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6월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흑자폭이 확대되면서 5월보다 흑자규모가 소폭 확대될 것으로 전망됐다.
광공업생산은 수출여건이 비교적 양호한 가운데 노사분규 시설정비 등 공급애로 요인도 점차 완화되고 있어 회복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OECD 경기선행지수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주요국의 경기회복이 지연될 소지도 있어 향후 추이를 주시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서비스업생산도 민간소비의 점진적인 개선에 따라 상승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재정부는 “다만 6월의 경우 장마,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에 따른 야외활동 위축으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