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오는 6월 3일로 다가온 대한민국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지상파 방송 3사가 분주하다. 화려한 패널 캐스팅과 함께 AI, 증강현실을 이용한 중계 등 다양한 볼 거리를 준비한다.
◆치열한 섭외 경쟁…현역·청년 정치인부터 유시민·정규재까지
KBS에선 더불어민주당 이소영, 국민의 힘 김재섭,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개혁신당 천하람에 우상호, 권영진, 김성태 전 의원을 초청한다. 여기에 박성민 정치컨설팅 민 대표와 김진 전 중앙일보 논설위원이 정치 평론가로 합세해 심도있는 판세 분석에 나설 예정이다.
![]() |
왼쪽부터 이소영 민주당 의원, 김재섭 국민의힘 의원, 김상욱 민주당 의원, 천하람 개혁신당 의원 [사진=KBS 선거방송기획단] |
KBS의 패널 구성은 진보와 보수 양 진영의 세대별 목소리를 균형감 있게 조망한다는 점이 돋보인다. 진보 진영의 이소영, 김상욱 의원 등이 합류해 통합이라는 시대정신, 세대 교체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젊은 유권자들의 공감을 이끌어낼 전망이다. 김상욱 의원은 최근 국민의힘에서 더불어민주당으로 당적을 옮긴 이후 첫 대선 방송 토론에 참석하며 눈길을 끈다.
![]() |
왼쪽부터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 권영진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조직총괄본부 전략기획본부장, 김성태 국민의힘 선대위 국민소통위원장 [사진=KBS 선거방송기획단] |
보수 진영에서는 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이 '정통 보수의 가치'와 '건설적인 보수의 미래'에 대한 담론을, 개혁신당의 천하람 의원은 '기득권 정치'와 양극단적 진영 싸움의 허점을 짚는 패널로 참여한다.
또 권영진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조직총괄본부 전략기획본부장,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공동상임선대위원장, 김성태 국민의힘 선대위 국민소통위원장은 전현직 중진 의원이자 각 당 선거를 직접 이끌고 있다. 실제 선거 현장의 최전선에 선 인사들의 판세 해설이 주목된다.
![]() |
이철희 전 청와대 정무수석, 조갑재 대표, 배현진 국민의 힘 의원'. [사진=SBS] |
SBS에서는 유튜브 정치 인플루언서들과 청년 정치인들을 대거 섭외하며 이전과는 다른 그림을 만들어낼 예정이다. 선거 토크쇼 '썰통령'에서는 지상파 방송에서 볼 수 없던 진보와 보수 진영의 내로라하는 직설 토크 패널 MZ 4인방이 맞붙는다.
진보 진영에서는 56만 구독자를 자랑하는 유튜브 '사장남천동'의 진행자이자 더불어민주당 전략자문단 부단장인 오창석과 청와대 청년비서관을 지낸 박성민이 출연한다. 보수 진영에서는 국민의힘 대변인이자 토론배틀 우승자인 박민영, '분노좌 보수 여신'으로 불리는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백지원 대변인이 준비 중이다.
지상파 3사의 출구조사 결과 공개 이후에는 '대선직썰'이 진행된다. 이철희 전 청와대 정무수석과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이 출연해 대통령 선거 판세 분석에 깊이와 품격을 더해줄 예정이다. 조갑제 대표는 야구 경기를 대선 판도에 비유해 풀이하는 한편, 지난 4월 이재명 민주당 대통령 후보와 식사 후 뒷 이야기도 전할 예정이다.
국내 최고 정치 논객으로 꼽히는 유시민 작가와 정규재 전 한국경제 주필이 출연해 대선의 의미를 짚고 함께 토론할 전망이다. 진보와 보수를 대표하는 두 인물이 MBC '선택 2025'에서 처음 마주 앉아 선거 판세와 정세를 두고 팽팽한 토론을 벌일 전망이다.
유시민 작가와 정규재 전 주필은 지난해 말 비상계엄과 올해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치며, 가장 논리적으로 현상을 분석하고 예측할 수 없는 상황들을 정확히 해설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MBC 대선 선거방송에서도 시시각각 변화하는 판세를 분석하는 한편, 결과에 따른 향후 대한민국의 모습은 어떻게 될지 짚어볼 예정이다.
![]() |
유시민 작가. [사진=뉴스핌DB] |
MBC 선거방송기획단 관계자는 "다양한 정보들이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시대, 시청자들은 선거방송에서 개표 상황뿐만 아니라, 숫자가 품고 있는 이면의 이야기를 듣고 싶어 한다"며 "어렵게 모신 유시민 작가와 정규재 주필이 보여줄 유쾌하고 깊이감 있는 토론을 통해 유권자들은 선거 판세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AI·증강현실 활용한 개표현황…CG명가 SBS 올해도 홈런칠까
KBS 개표방송의 주 무대인 'K-큐브'는 조선시대 최고 행정·의결기구인 의정부가 위치했던 장소인 광화문 의정부지에 설치된다. 이곳은 과거 조선의 국정 운영을 실현하던 공간이자, 오늘날 민주주의의 상징으로 다시 태어난 자리다. 이민영 선거기획단장은 "분열된 정치 지형과 어려운 경제 국면 속에서 치러지는 조기 대선인 만큼, KBS는 이 역사적 공간 위에서 우리 정치를 되돌아보고, 미래를 함께 모색하는 시간으로 개표방송을 기획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고품질 음향과 조명, 시각효과가 결합된 대형 스크린과 인터랙티브 무대가 설치되어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방송'으로 연출될 예정이다, 젊은 정치인의 패기와 중진 정치인의 경륜, 논객과 정치 컨설턴트의 촌철살인이 맞물려, 진보와 보수가 서로의 미래를 묻고 답하는 살아 있는 토론장이자 시민 민주주의의 축제로 완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성형 AI 기술도 전면 도입한다. 후보자 득표 현황을 보여주는 그래픽과 함께 생성형 AI로 만든 우리나라 현대사의 주요 순간을 보여주고, 출구조사 카운트다운 영상 역시 AI 기술로 구현할 예정이다. 그간 개표방송에서 생성형 AI 기술이 제한적으로 사용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전면 도입을 한 것은 KBS가 처음이다.
![]() |
SBS 선거방송 '2025 국민의 선택'. [사진=SBS] |
SBS에서는 패널만큼이나 창의적인 'XR 스튜디오'를 개표방송 주 무대로 삼는다. 확장 현실, XR 기술을 적용해 실제 그 공간에 있는 것처럼 느껴지는 가상의 토크 스튜디오를 구성했으며 게임에 많이 사용되는 '언리얼 엔진'을 이용했다. 3D 입체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광장, 대통령실 등 5개의 장소를 토크쇼 주제에 맞춰 시시각각 바꿔 '마성의 연출'을 실시간으로 보여줄 전망이다. 이같은 SBS의 시도 역시 국내 방송사 가운데 처음이다.
특히 SBS는 매 선거 시즌마다 블록버스터급 CG를 선보여온 데 이어 올해 대통령선거에서도 실시간 개표 정보 그래픽 '바이폰'(VIPON: Voting Information Processing Online Network)을 공개하며 주목받았다. 입소문을 타면서 BBC 등 외신에서 취재에 나서기도 했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 속 참가자들을 연상케 하는 대선 후보자들의 치열한 승부를 선거 그래픽에 녹였다. 이번 선거 방송의 '킥'이자 킬러 콘텐츠인 '대결 2025: 승부사들'이다. 체육복을 입은 대선 후보들이 쏟아지는 표를 차지하기 위해 전통놀이를 비롯한 다양한 게임에 나서는 장면을 그려낼 예정이다. 민심을 사로잡기 위해 레이싱 차량에 올라탄 후보들이 불꽃 튀는 경주를 벌이는가 하면, 화려한 조명 아래 펼치는 후보들의 현란한 '스피닝' 몸동작들도 만나볼 수 있다.
더불어 SBS에서는 개표 상황을 심층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정보성을 강화한 바이폰도 함께 선보인다. 후보 간 득표율 격차가 10분, 30분 단위로 얼마나 변화하는지 등 실시간 정보를 직관적으로 분석해 시청자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 |
MBC 개표방송 '선택 2025'. [사진=MBC] |
MBC '선택2025'는 선거방송 사상 처음으로 대형 6면 LED를 무대로 세웠다. 시청자들은 마치 스포츠 경기를 보듯 역동적이고 생생한 생방송 중계를 선거방송 내내 즐길 수 있을 전망이다.
MBC 선거방송기획단은 역대 가장 많은 40여 종의 선거 중계 포맷을 준비하며 승부수를 띄운다. 초고화질 FPV 드론으로 찍은 주간, 일몰, 야간 풍경 등 다양한 실제 촬영 포맷들부터, 감동과 재미를 함께 담은 수준 높은 컴퓨터 그래픽까지, 투개표 시간 내내 고품질의 중계 포맷을 선보일 예정이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