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말까지 500만개 추가 확보...오늘부터 티월드서 유심 교체 집중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SK텔레콤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 이후 유심카드를 교체한 인원이 100만명을 넘어섰다. SKT는 5일부터 전국 2600개 T월드(티월드) 대리점에서 신규 가입을 중단하고 유심 교체에 집중해 이달 말까지 500만개, 6월말까지 추가 500만개의 유심 교체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SKT는 5일 서울 SKT타워에서 데일리 브리핑을 통해 유심 교체 현황 및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현황을 발표했다.
![]() |
[서울=뉴스핌] 양윤모 기자 = SK텔레콤 고객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T월드 매장을 찾아 사이버 침해 피해 우려속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받고 있다. 2025.04.28 yym58@newspim.com |
이날 오전 9시까지 유심 교체한 인원은 100만명이다. SKT는 지난달 말 유심 무료 교체를 시행하겠다고 발표하면서 유심 재고량이 100만개라고 밝힌 바 있다. SKT는 유심 제조업체를 통해 매일 조금씩 유심 물량을 조달하고 있다. 이달 말까지 500만개의 유심을 추가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임봉호 MNO 사업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유심 물량은 분명히 부족한 면이 있다. 뒤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해소될 것"이라며 "하루 20만명 정도씩 교체를 하고 있고 유심 교체를 예약한 분들이 770만명이다. 한 달하고 보름 정도면 예약자분들도 모두 유심을 교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오전 9시까지 유심보호서비스 누적 가입자는 2218만명이다. SKT의 가입자는 2300만명, SKT망을 사용하는 알뜰폰 가입자는 200만명으로 전체 2500만명 중 88% 정도가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한 셈이다.
임 사업부장은 "알뜰폰의 경우 유심보호서비스 자동 가입을 모두 완료했다"며 "알뜰폰 유심교체는 사업자별로 진행하고 있어 별도로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음은 이날 브리핑의 주요 질의응답.
![]() |
SK텔레콤이 5일 서울 SKT타워에서 데일리 브리핑을 개최했다.왼쪽부터 김희섭 PR센터장, 임봉호 MNO 사업부장, 류정환 네트워크인프라센터장 [사진= 정승원 기자] |
Q.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했더라도 휴대폰 꺼지면 복제 위험이 커지나.
A.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하면 다른 유심을 꽂더라도 동작하지 않는다. 휴대폰 꺼졌을 때도 방어 로직이 있다.
Q. 유심 교체 물량이 5월 4일 3만명에서 5월 5일 9시 기준 5000개로 줄었다.
A. 유심 물량이 부족한 면이 분명히 있다. 이 부분은 순차적으로 뒤로 가면서 조금씩 해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Q. 이미 유심교체한 사람도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해야 되나. 해커가 가져간 정보가 있는데 유심보호서비스만으로 안전한가.
A. 유심이 있고 단말기가 있으면 유심보호서비스는 유심과 단말기를 본드로 붙이는 것과 같다. 유심은 이 단말기가 아니면 안 된다고 지정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냐면 나 자신도 이 유심을 뺏다가 껴는 순간에 안 된다. 그 정도로 유심보호서비스가 안전하다고 말씀드리는 것이다.
유심교체를 했는데도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해야 하는지 여부는 고객이 판단할 문제다. 저희는 유심보호서비스로 충분하다고 안내해드리고 있고 그것으로 부족한 분은 교체를 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고객이 안심이 될 때까지 교체 신청을 받아 진행하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수사기관이나 접수된 바로는 불법적인 유심복제로 인한 피해라든지 고객 계좌정보 털려 빠져나갔다든지 파악되지 않았다. 무조건 안심하라는 것은 아니며 SK텔레콤이 최대한 막고 있다. 유심보호서비스와 비정상 인증 시도 차단(FDS) 두가지 서비스와 추가되는 이중삼중의 조치를 통해서 고객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Q. 신규 가입은 번호이동도 포함되나.
A. 티월드를 신규 가입을 중지한 것은 유심이 계속 매일 들어오기 때문에 들어오는 양을 유심교체에 집중하자는 의미에서 한 것이다. 다음 주 정도에 들어가면 유심 물량 재고가 확보되기 때문에 교체에 조금 더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신규 가입금지에는 번호이동 신규도 포함된다.
Q. 피해 100% 보상이라 했는데 해킹 피해 입증 책임은 피해자에게 있나.
A. 이번 해킹 사고로 인해 피해에 대해 유심보호서비스를 가입했든 안 했든 책임져야 한다는 것이 저희의 입장이다. 고객들에게 말씀드리는 부분은 유심보호서비스 가입하면 훨씬 안전하다는 것이다.
입증 책임에 대해서는 피해를 100만원 봤으니 100만원을 달라고 해서 바로 줄 수는 없다. 확인 절차 거쳐야 한다. 피해가 발생한 부분에 대해서는 신고하고 조사 과정을 거칠 것이다.
고객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저희가 입증해야 하는 부분도 있을 것이다.
Q. 데이터 기기용 유심이나 알뜰폰 유심도 교체하고 있나. 신규 가입 중단은 전산 자체를 막은 것인가.
A. 신규가입은 전산 자체를 막았다. 알뜰폰은 유심보호서비스는 일괄적 자동가입하고 있고 유심교체는 저희가 지원은 하는데 교체는 알뜰폰 사업자별로 진행되고 있다. 데이터심도 신청하신 분들은 다 교체하고 있다. 알뜨폰은 신규 가입 중단과 무관해 정상 영업하고 있다.
Q. 로밍과 유심보호서비스 동시 적용 시점은 언제인가.
A. 로밍유심 서비스는 14일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정을 당기기 위해 힘쓰고 있다.
Q. 유심보호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어떻게 로밍이 되는지 궁금하다.
A. 국내에서 획득 정보가 여러 가지 있어 유심보호서비스가 가능했다. 개인 판별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도 획득할 수 있는 정보가 있다. 인공지능(AI)을 통한 기술을 접목시켜 가능하다. 세부 기술은 오픈할 수 없지만 로밍 쪽에서 가능하다.
Q. 타 통신사 유심 제공 등 협력해주는 상황은 어떠한가.
A. 타 통신사에서 도움 줄 수 있는 부분이 있을지 연락왔다. 평소에 쓸 수 있는 재고 적정량이 있어서. 국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업체들로부터도 최대한 빨리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곳은 탈레스라는 해외 업체가 있다. 거기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다. 5월말까지 500만개가 들어올 것이고 5월 14일 정도 지나면 유심 부족 시기가 지나갈 것이다. 현재는 본인 확인 등을 감안해 하루 20만개~25만개까지 교체할 수 있다.
Q. 2218만명이 유심보호서비스에 가입했다면 잔여회선은 얼마인가.A. 저희 가입자가 2300만명, 알뜰폰 가입자가 200만명으로 2500만명 정도 예상한다. 자동가입하시는 분들이 이제 90% 이상이라고 보시면 된다. 아직 가입이 안 된 부분은 해외 나가있거나 로밍요금 가입자들이다. 현재는 유심보호서비스를 자동으로 가입시키면 로밍요금제가 해제된다. 유심보호서비스가 개선되면 이분들도 가입할 수 있을 것이다.
Q. 집단이나 법률 사무소를 통한 소송이 제기되고 있다. 법적 대응은 어떻게 하나.
A. 지금 현재는 사고 원인에 대한 규모에 대한 것이 우선이고 당장 (법적 대응을) 어떻게 하겠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보안시스템을 더 강화하고 투자를 더 하든지 불편 겪으신 고객들에게 어떻게 해야 하는지 종합적으로 신뢰와 안심을 드리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Q. 보상에 대한 보험 규모가 10억원 정도라는 보도가 있었다. 소송을 제기한 사람들에게만 피해보상을 해줄 수 있다는 내용이었는데 실제 어떻게 보상을 계획하고 있나.
A. 보험 가액이 10억원이 불가하다는 것은 절차상 가입해야 하는 부분이다. 피해가 더 있다고 하면 보험과 상관없이 저희 책임이다.
Q. 입법조사처에서 번호이동 위약금 면제 가능하다는 검토 결과가 나왔다. 위약금 면제 여부는 어떻게 검토 중인가.
A. 내부적으로 여러 가지 면에서 검토하고 있다. 결론이 아직 안 난 상태이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