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주택용 태양광에너지 사업 호조...연 8% 성장 예상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 최대 3500% '관세 폭탄' 변수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한화솔루션과 OCI홀딩스가 올해 1분기 나란히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한화솔루션의 경우 석유화학 업황 침체에도 태양광 부문의 호조로 전년 대비 흑자전환했다. 특히 미국 주택용 태양광에너지 시장의 호조가 실적을 견인했다. 한화측은 미국 주택용 태양광에너지 시장이 향후 연 평균 8%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최근 미국 정부가 동남아 4개국의 태양광 제품에 최대 3500% 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미국 태양광 시장내 불확실성이 커진 점이 향후 실적 개선세의 관건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미국의 상호관세와 대중국 규제 강화에 따른 대대적인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주로 수입에 의존하던 미국내 태양광 제품 생산과 공급이 현저히 부족해진 상황이다.
◆ 美 주택용 태양광에너지 사업 호조...연 8% 성장 예상
25일 태양광업계에 따르면, 한화솔루션은 올해 1분기 매출 3조945억원, 영업이익 303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흑자전환했다.
![]() |
한화큐셀이 지난해 완공한 미국 캘리포니아 주 소재 태양광 발전소 [사진=한화큐셀] |
미국 주택용 에너지 사업이 수익성 개선을 주도하면서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보다 증가했다. 한화솔루션은 미국 주택용 태양광에너지 사업 관련 "2035년까지 연 평균 8% 성장을 예상한다"며 "올해 1분기에 22%의 성장세를 기록했고, 중장기적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OCI홀딩스는 올해 1분기 매출액이 전분기 대비 10.8% 늘어난 9465억원, 영업이익은 487억원을 기록, 전분기 대비 흑자전환했다. OCI홀딩스는 그러나 지난해 1분기(995억원)에 비해선 영업이익이 반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을 생산하는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 테라서스를 비롯해 미국 태양광 지주회사 OCI 엔터프라이즈, 도시개발사업 자회사인 DCRE 등 주요 자회사들이 흑자 전환하며 영업이익률 5.1%를 기록했다.
이우현 OCI홀딩스 회장은 전날 실적설명회에서 "20년 가까이 실적 발표를 해왔지만, 이렇게까지 복잡한 상황은 처음"이라며 "지금은 저희가 제품을 만들어도 고객사가 가져가서 어디에 팔 수 있을지조차 불투명하다. 대부분 최소 가동 상태로 유지 중"이라고 말했다.
◆ 동남아 태양광 제품에 최대 3500% '관세 폭탄' 변수
미국 정부는 최근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태국, 베트남 등에서 생산된 태양광 셀과 모듈에 대한 반덤핑관세(AD)와 상계관세(CVD)를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미국 상무부는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 4개국에 공장을 세워 태양광 제품을 미국에 우회 수출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상무부는 조사 결과에 따라 각 국가와 회사에 14~3500%의 AD 및 CVD 관세를 매겼다. 이들 4개국은 미국 태양광 제품 수입의 약 80%를 차지한다.
이에 따라 이같은 미국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폭탄'에 따른 향후 태양광 시장 공급망 재편 움직임이 한화솔루션과 OCI 등 국내 업체들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가 변수로 떠올랐다.
윤재성 하나증권 연구원은 "미국 금리인하 등에 따른 가정용 태양광 시장의 회복과 설치/운영 중심의 경쟁사 대비 제조 설비까지 보유한 한화솔루션의 강점이 부각될 것"이라며 "동남아 4개국에 대한 AD/CVD 관세 부과, 내부 수요 성장을 감안하면 미국 태양광 모듈 재고 감소와 가격 반등은 필연적"이라고 전망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