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네오펙트는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박지현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인공지능(AI) 기반 안면인식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치료기기 소프트웨어 개발을 완료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 안면기술을 넘어 고도화된 AI 기술을 적용해 볼, 혀, 목젖 등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음식물을 삼키기 어려운 연하장애 환자에게 맞춤형 훈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회사 관계자는 "연하장애 환자의 재활을 위해서는 일반적인 기술로 인식되지 못하는 미세한 근육 움직임과 복잡한 신경 신호를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는 AI 모델이 필요하다"며 "자사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과 딥러닝 기반의 AI 알고리즘을 활용해 환자의 얼굴 데이터를 학습하고 근육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혁신적인 AI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전했다.
![]() |
네오펙트 로고. [로고=네오펙트] |
이 시스템은 AI를 통해 질환을 정확히 파악하고 환자의 상태에 따라 최적화된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AI 기술은 단순한 데이터 분석을 넘어 개별 환자의 운동 패턴을 학습해 AI가 직접 훈련 강도를 조절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회사 관계자는 "기존의 치료가 일률적인 훈련 프로토콜을 제공했다면 네오펙트의 AI는 환자의 반응을 실시간으로 분석해 훈련 난이도를 조정하고 최적의 재활 경로를 제안하는 능동적인 시스템을 구현한다"고 설명했다.
네오펙트는 AI 기반 원격 재활 플랫폼을 활용해 환자가 병원에 방문하지 않아도 가정에서 효과적인 연하 재활 치료를 받도록 개발했다. 해당 시스템의 AI는 환자의 훈련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의료진에게 실시간 분석 데이터를 제공하고 보다 정밀한 치료 계획 수립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 회사는 확대 임상을 위해 다기관 임상을 진행 중이다. 국내 다수의 의료기관과 협력해 AI 기반 연하장애 디지털 치료기기의 효과를 다양한 환자군에서 검증하고 있고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AI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치료기로 공식적인 승인을 받고 의료 시장에서 새로운 표준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네오펙트 관계자는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디지털 치료를 선도하게 될 것"이라며 "향후 AI 기반 의료 솔루션을 더욱 발전시켜 환자들에게 최적화된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혁신적인 기업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