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코미팜은 아프리카 돼지 열병 (ASF) 예방을 위한 유전자 수술방식의 약독화 생백신(Live-attenuated vaccine, LAV) 후보물질, ASFV-G-ΔI177L/ΔLVR의 임상실험에서 백신 후 장기간 ASF 백신 항체가 지속된 내용에 대한 연구가 국제 과학 학술지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등재된 학술지는 세계 최대 규모의 출판사 중 MDPI (스위스 온라인 학술지) 오픈 액세스 과학 저널에서 발행하는 'Animals'이다. 올해 1월호에 등재됐고, 지난 7일 공개됐다.
![]() |
세계 최대 규모의 출판사 중 MDPI (스위스 온라인 학술지) 오픈 액세스 과학 저널에 아프리카돼지열병 관련 백신 논문을 등재했다고 밝혔다/제공=코미팜 |
ASF는 여러 대륙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양돈 농가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ASFV)에 대한 백신 개발은 최근 수의학 연구의 최우선 과제다.
본 임상실험은 환경부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과 전북대학교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협력으로 진행됐다. 7~8주령 돼지를 대상으로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 ASF 항체 지속성 등을 확인했다.
우선 백신 접종 후 공격 접종군에서 발열, 식욕 저하 등 부작용 없이 100% 생존율을 확인하면서 안정성이 입증됐다.
또 공격 접종 그룹은 강독 국내 야외 분리 균주, ASFV-화천/2020를 접종한 양성 대조군은 전원이 폐사했지만, 백신 접종군은 100% 감염증상 없이 방어하면서 생존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외에도 면역반응분석에서 백신 후보주, ASFV-G-ΔI177L/ΔLVR만 접종 후 약 2달간 ASF 항체가 높은 수준으로 지속되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는 코미팜 중앙연구소 서정향 연구소장과 연구진이 실시했다.
한편 코미팜은 품목등록 최종 단계인 야외 임상 시험을 필리핀 정부의 협조로 국영농장과 대규모 농장 등 3군에서 올해 상반기 대규모로 진행할 예정이다.
코미팜 관계자는 "상용화된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이번 성과는 방역체계의 혁신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