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부터 법인 계좌개설 서비스 제공…6000좌 돌파
금융위 허용시 케뱅 강점 두드러질 듯…"연계사업 검토"
[서울=뉴스핌] 송주원 기자 = 금융당국의 가상자산 법인계좌 허용이 가시화되면서 은행권에서 케이뱅크(은행장 최우형)가 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케이뱅크는 2018년부터 법인계좌를 제공해 왔고, 지난해에는 가상자산을 국고로 환수하는 국가기관 고객까지 확보했다.
6일 은행권에 따르면 케이뱅크가 확보한 법인 고객은 지난해말 기준 5000여 곳이다. 이들이 개설한 계좌 수는 6000좌가 넘고, 법인 예수금도 가상자산거래소 고객 예치금을 제외하고도 6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당국의 가상자산 법인계좌 허용이 가시화되면서 은행권에서 케이뱅크가 그 수혜를 입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사진=케이뱅크] |
케이뱅크는 지난 2018년부터 법인고객에 한해 대면 계좌개설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프로세스를 개선해 2019년부터는 비대면으로도 법인계좌 개설이 가능하도록 제공 중이다.
지난해부터는 범죄수익으로 몰수·추징된 가상자산을 국고로 환수하는 절차가 개선되면서 검찰과 국세청 등 여러 국가기관이 케이뱅크 법인계좌를 택했다. 지난해 말에만 지방검찰청과 세무서 등 49개 국가기관이 법인계좌를 개설하고 국고 환수를 위해 가상자산을 거래하고 있다.
애초 가상자산 법인계좌 허용 시 개인고객 중심인 인터넷은행보다 법인고객을 다수 확보한 대형은행과 제휴한 거래소가 혜택을 볼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케이뱅크가 이미 6년 넘게 법인계좌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는 점, 국가기관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법인계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케이뱅크가 큰 강점을 보일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업권에서는 가상자산 법인계좌가 자금세탁에 악용될 가능성도 적다고 보고 있다. 케이뱅크가 현재 제공하고 있는 법인 뱅킹 서비스는 단순 예금, 이체 등과 같은 금융서비스지만 대형 은행은 외환, 여신 등 복잡하고 위험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자금세탁 위험에 노출될 영역이 많다는 이유다.
케이뱅크는 가상자산 법인계좌가 확대 도입될 경우 수익성 강화를 위해 커스터디(수탁) 사업 등 다양한 가상자산 연계 사업방안을 향후 검토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검찰과 국세청 등 국가기관에서 국고 환수를 위해 가상자산 법인계좌를 개설하고 이미 거래하고 있어 법인계좌 확대 시 운영 경험과 노하우를 보유한 케이뱅크가 강점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다.
jane9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