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아토3 등 전기차 3종 연내 출시
3000만원대 가격경쟁력으로 승부
샤오미도 스마트폰·가전 시장 진출
AI 기능 대거 탑재, 삼성에 도전장
"중국 위협에 대응해야 할 때"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그동안 중국의 위협에 대해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실제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할 때가 왔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중국 IT기업 샤오미가 국내 진출을 본격화한 가운데 세계 최대 전기차 제작사로 떠오른 비야디(BYD)까지 한국시장 공략에 나선다. 가격 경쟁력 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 못지않은 첨단 기술력으로 중무장 하고 있어 국내 시장에 적잖은 파장이 예고되고 있다.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16일 인천 중구 상상플랫폼에서 열린 BYD 승용 브랜드 런칭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아토3가 공개되고 있다. 2025.01.16 yooksa@newspim.com |
◆ 실 구매가 2000만원대?...中 전기차의 공습
16일 국내 출시 간담회를 연 BYD는 이미 세계 시장에서 테슬라를 앞지른 친환경차 기업이다. 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BYD는 지난해 1~11월 367만3000대를 판매하며 세계 전기차 시장 점유율은 23.6%를 차지했다. 미국 테슬라의 시장 점유율(10.2%) 보다 2배 이상 큰 격차다.
국내에서 이미 전기지게차, 전기버스, 1톤 전기 트럭을 선보인 바 있는 BYD는 상용차에 이어 승용차로 시장을 확대한다. 올해 판매할 차량은 소형 전기 SUV인 아토3를 시작으로 중형 전기 세단 씰, 중형 전기 SUV 씨라이언7 등 총 3개 모델이다.
강점은 역시 가격이다. 아토3 출시가는 3150만원으로, 정부 보조금을 감안하면 실 구매가격은 2000만원대로 내려간다. 리튬·인산·철(LFP) 기반 블레이드 배터리를 탑재, 1회 충전시 복합 기준 321㎞까지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를 20%에서 80%까지 충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0분이다. 파노라믹 선루프, V2L 등 편의사양을 기본으로 갖추고 있어 상품성도 갖췄다. 티맵모빌리티 서비스, 국내 음악 플랫폼 플로(FLO) 한국 고객 취향에 맞춘 서비스도 적용했다.
조인철 BYD코리아 승용차 부문 대표는 "한국 시장에 BYD 승용 브랜드를 소개하는 첫 해인만큼 보다 많은 한국 소비자들이 BYD 전기차를 부담없이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한국 고객들의 눈높이에 맞는 최적화된 가격을 책정하고자 노력했다"고 말했다.
BYD의 공식 출시에 앞서 국내 완성차 기업들도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현대차그룹의 싱크탱크 역할을 맡고 있는 HMG경영연구원의 양진수 모빌리티산업연구실장(상무)는 "중국 브랜드에 대한 국내 소비자 인식이 좋지 않지만 그 부분은 BYD가 소비자들과 앞으로 어떻게 관계를 맺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며 "분명히 위기감은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샤오미 14T. [사진=샤오미] |
◆ 삼성·애플 양분한 스마트폰 시장까지 진출
이에 앞서 지난 15일 중국의 IT기업 샤오미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국내에 스마트폰을 필두로 TV, 로봇청소기 등 제품을 순차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샤오미는 세계 스마트폰 시장에서 출하량 기준으로 삼성전자, 애플에 이어 세계 3위 기업이다.
한국에 선보이는 첫 스마트폰은 샤오미 14T와 레드미 노트 14 프로 5G다. 구글과 협업으로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과 AI 비서 '제미나이'가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서클 투 서치는 손가락으로 화면에 동그라미를 그리면 앱 전환 없이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 기능으로, 이미 삼성전자의 갤럭시 S24 시리즈에 최초로 탑재한 AI 기술이다.
가격은 가장 싼 모델이 39만원대부터 시작해 최고 64만원대다. 삼성전자의 중저가형 모델인 갤럭시A 시리즈가 31만원대인 것을 감안하면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 특히 샤오미 T14는 유럽에서 649유로(약 97만원)에 판매 중이지만, 한국에선 59만9800원에 출시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서클 투 서치(Circle to Search)' 기능과 '제미나이'를 탑재해 상품성도 갖췄다는 평이다.
조니 우(Jony Wu) 샤오미코리아 사장은 "앞으로 한국에서 현지화된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팬들의 의견에 귀 기울이며, 제품과 서비스, AS 등 모든 면에서 소비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CES 2025 TCL 전시관 전경 2025.01.16 syu@newspim.com |
◆ CES서 확인한 中 영향력...삼성·LG 바짝 추격
앞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제품 전시회인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 2025)에서도 중국기업들의 기세는 국내 기업을 위협하기 충분했다. 중국 대표 가전기업 하이센스와 TCL은 삼성전자, LG전자 못지않은 전시관을 꾸리고 AI 홈 솔루션을 비롯해 TV, 냉장고, 세탁기 등 가전을 총 망라해 전시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글로벌 TV 시장에서 삼성전자(28.7%), LG전자(16.5%)에 이어 TCL(12.3%), 하이센스(9.7%)가 바짝 추격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이번 전시에서 '세계 최초', '세계 최대'를 강조하며 기술력을 뽐내는 데 주력했다.
조주완 LG전자 대표이사는 현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그동안 중국의 위협에 대해 인식하는 단계였다면 이제부터는 실제 대응을 위한 실행 단계로 옮겨야 할 때가 왔다"며 "중국이 내수가 어렵고 미국과의 분쟁 등으로 큰 시장 접근이 어려우면 가격 경쟁력을 더 강하게 갖출 수 있는 위안화 절하와 같은 무기를 가지고 나올 수 있다"며 "이런 부분의 대응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샤오미가 투자한 로봇청소기 기업 로보락은 세계 1위 기업으로 성장한 데 이어 국내 시장에서도 빠르게 발을 넓혀가고 있다. 다만 중국산 제품의 해킹이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은 한 차원 높은 '보안'에 초점을 맞춰 마케팅에 나서고 있다. 삼성전자는 자체 보안 솔루션 '녹스(Knox)', LG전자는 'LG 쉴드(LG Shield)'로 고객 데이터가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