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소외지역 집중 지원…지속 가능 정책으로 전환
연계 프로그램·맞춤형 역량교육 등 자발적 성장 지원
주민 함께 협력적 모델 구축…독서문화 확산에 기여
[고양=뉴스핌] 최환금 기자 = 고양특례시 도서관센터가 공립 작은도서관의 역할을 재정비하며 정보 소외 지역의 도서 대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작은도서관의 주체적 성장을 위한 협력 프로그램을 늘리기로 했다.
![]() |
작은도서관 협력 프로그램 모습. [사진=고양시] 2025.01.08 atbodo@newspim.com |
이번 조치는 시립도서관의 확장과 10개 스마트도서관 보급으로 높아진 시민들의 정보 접근성을 고려해 진행된다. 고양시는 앞으로 정보 소외지역을 중심으로 공립 작은도서관을 운영하며 효율적인 예산 사용으로 주민 혜택을 늘려가겠다는 방침이다.
![]() |
작은도서관 협력 프로그램 연합 전시회. [사진=고양시] 2025.01.08 atbodo@newspim.com |
공립 작은도서관 7개관, 책누리 서비스 확대
시립도서관 20개 확장과 디지털 독서습관 확산으로 도서관 기능의 변화가 요구되면서, 시는 공립 작은도서관 정책을 조정한다. 특히,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공립 작은도서관 7개관(관산·내유·대덕·마상공원·모당공원·사리현·화전)에 책누리 서비스를 확대한다. 이 서비스는 책누리 차량 증설과 함께 올해 상반기 내로 시작될 예정이다.
![]() |
2024 작은도서관 아카데미 '미래 작은도서관의 역할'. [사진=고양시] 2025.01.08 atbodo@newspim.com |
협력 프로그램·역량 교육 등 작은도서관 지원 강화
고양시는 작은도서관을 독서와 문화의 중심지로 만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한다. 신규 및 우수 작은도서관을 선정해 강사 지원과 물품을 제공하고, 예산을 확대해 지역 공동체 독서문화를 촉진한다. 또한, '쉼, 詩 속으로' 프로그램과 작은도서관 아카데미를 통해 주민 참여와 운영자 역량을 강화한다. 보조금, 강사 파견, 냉난방비 등 자발적 성장을 위한 지원도 이뤄지고 있다.
![]() |
2024 고양 독서대전 고양시작은도서관협의회 '쉼, 시 속으로' 전시. [사진=고양시] 2025.01.08 atbodo@newspim.com |
책쉼터로 거듭날 작은도서관 기대
작은도서관은 지역 커뮤니티의 핵심 공간으로 거듭나 주민 삶의 질 향상과 공동체 문화 조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어, 강촌공원 작은도서관은 '책쉼터'로 재개관해 독서동아리 및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하며, 창의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변모하게 된다.
![]() |
2024 고양 독서대전 고양시작은도서관협의회 '시를 처방해드립니다' 체험 부스. [사진=고양시] 2025.01.08 atbodo@newspim.com |
고양시는 주민 주도의 협력 모델 구축을 통해 사립 작은도서관들이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지원 체계를 정비해 나갈 계획이다.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는 잘 갖춰진 도서관 인프라로 모든 시민이 공평하게 독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atbod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