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사 임원인사 임박...대우·롯데·현대ENG 재신임 대상
외형 확장보다 내실에 초점, 기업 사정에 이해도 높은 CEO 선호
[서울=뉴스핌] 이동훈 기자 = 국내 주요 그룹사가 연말 임원인사를 앞둔 가운데 건설사 최고경영자(CEO) 인사는 큰 변화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경기 둔화로 신규 수주를 확대하기보다는 원가율, 생산성 향상 등 기업 관리가 중요한 시점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임기 만료를 앞둔 대표이사가 평년과 비교해 적은 데다 최근 일부 건설사가 CEO를 중도 교체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15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연말 임원인사에서 대형 건설사 CEO들은 대부분 현재 자리를 지킬 것으로 예상된다. 조직의 큰 변화보다는 기업 내실을 강화해 실적 불안을 타개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연말 CEO 재신임을 받아야 하는 (우측부터) 대우건설 백정완 사장, 전중선 포스코이앤씨 사장, 박현철 롯데건설 부회장. |
우선 내년 임기 만료일이 돌아오는 건설사 CEO로는 대우건설 백정완 사장이 있다. 백정완 사장의 임기 만료일은 내년 2월로 올해 연말 재신임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백 사장은 중흥그룹이 대우건설을 인수한 2022년 사장 자리에 올랐다. 최근 대우건설 부회장직을 맡게 된 정진행 전 현대건설 부회장은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을 도와 해외사업 확대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은 백 사장 체제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저효과가 있다지만 역성장하는 기업 실적을 반전시켜야 하는 숙제는 안고 있다. 백 사장이 대표이사로 취임한 2022년 연간 영업이익이 7600억원이었으나 올해는 4700억원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된다. 이 기간 영업이익률은 7%대에서 4%대로 쪼그라들었다.
지난 2021년 삼성물산 대표이사에 오른 오세철 사장은 작년 말 임기가 한차례 유임되면서 2027년 3월이 임기 만료일이다. 물론 매년 경영 평가를 받는 CEO들은 임기 만료일이 보장되지 않는 게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오 사장은 내년에도 삼성물산을 이끌 것이란 게 내부 분위기다. 플랜트부문 전문가인 데다 임기 동안 실적도 눈에 띄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2021년 1조1960억원이던 영업이익이 올해에는 3조1480억원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해 현대건설 대표이사에 오른 윤영준 사장도 내년 기업 '지휘봉'을 잡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택사업 전문가인 윤 사장은 안정적인 기업 경영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불가리아 원전, 신재생에너지, 소형모듈원전(SMR) 등 사업 다각화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것도 긍정적이다.
다만 경쟁사 대비 낮은 수익성은 개선할 부분으로 꼽힌다. 현대엔지니어링 등 자회사 실적과 합산한 연결 영업이익이 지난해 7854억원이다. 올해는 7200억원 수준으로 역성장이 전망된다. 예상 영업이익률도 2.2% 수준으로 대형 건설사 중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GS건설 허윤홍 사장은 올해 대표이사로 선임됐다. 허창수 GS그룹 명예회장의 장남인 허 사장은 허 명예회장으로부터 GS건설 지분 200만주를 증여받아 2대 주주(3.89%)로 올라섰다. 약 10년 만에 오너 경영 체제로 전환한 만큼 당분간 허 사장이 기업 경영을 진두지휘할 가능성이 높다.
DL이앤씨는 최근 대표이사 교체가 단행됐다. 지난 5월 선임된 서영재 사장이 석 달 만에 경영에서 물러나고 8월 박상신 DL건설 대표가 바통을 이어받았다. 전중선 포스코이앤씨 사장 역시 올해 선임된 만큼 CEO 교체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박현철 롯데건설 대표이사(부회장)와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이사(부사장)는 모두 올해 3년차로 연말 재신임 여부가 결정된다.
주요 건설사들이 수장 교체보다는 현 체계에서 내실을 다지는 방향으로 연말 인사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건설사 대부분은 부동산경기 불황에 신규수주가 감소하고 원가율 상승에 이익률이 하락하고 있다. 외형 확장보다는 수익성 관리가 중요시되는 만큼 기업 경영에 이해도가 높은 인사를 통해 효율성 제고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점쳐진다.
대형 건설사 한 임원은 "주요 그룹사가 이달 말부터 11월에 걸쳐 CEO 인사 발표를 예정한 가운데 올해는 평년보다 변화의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신규수주로 외형 성장에 주력하기보다는 원가관리, 비용절감 등을 통해 내실 강화에 주력하는 상황에서는 기업 사정에 이해도가 높은 기존 CEO가 선호될 것"이라고 말했다.
leedh@newspim.com